[사기를 막는 원룸 계약 주의사항] 신입생과 사회초년생은 주목! 

게티이미지뱅크

초ㆍ중ㆍ고등학교 12년을 지나 설레는 대학생활의 시작, 하지만 전에 챙길 것들이 있다. 집과 학교가 가깝다면 문제없지만 타지역 학교로 입학을 선택했거나 집과 학교가 1시간 이상 걸린다면 학교 앞 원룸에서 자취를 시작하는 것이 앞으로의 대학생활에 질을 높일 것이다. 첫 직장을 잡게 되었을 경우도 동일하다. 기본적으로 원룸을 구해본 사람들에게는 당연한 정보이지만 초보들에게는 생소할 수 있기 때문에 사회 초년생들은 주목하자.

부동산에 대한 제대로 된 지식 없이 무조건 싼 원룸만 찾다가는 손실을 입을 수 있다. 부동산 계약에 관해서 확인 해야 할 체크리스트를 꼽았다.

독도의 등기부등본, 한국인이라면 누구든 떼어볼수 있다.

1. 임대차인 계약서와 임대인의 건물 등기부 등본상 건물 소유자가 동일한가?

임대차인은 바로 원룸을 구하는 ‘나’이다. 임대인은 건물주, 즉 집주인이다. 내 원룸 계약서와 집주인의 건물 등기부 등본상, 건물 소유자가 동일한지 확인하는 것이 첫 단계다. 등기부 등본은 건물의 이력서라고 볼 수 있다.

원룸을 계약할 때 부동산 중개인이 ‘내 원룸 계약서’와 집주인의 건물 등기부 등본상, 건물 소유자가 같은지 확인을 시켜주는 경우도 있고 그냥 넘어가는 경우도 있으니 챙겨 봐야 한다. 원룸 계약서를 비롯한 모든 계약서는 꼼꼼히 읽어봐야 차후 불이익이 없다는 점 유의해야 한다.

게티이미지뱅크

2. 월세 통장의 명의가 임대인과 동일한가?

등기부 등본에 임대인(건물주)의 이름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임차인인 나는 매달 월세를 입금하게 되는데 그 통장의 명의가 동일한지 확인을 하는 것이다. 운이 안 좋아 악덕 부동산 업자가 건물주와 단합해 사기를 치는 경우가 종종있다. 그렇기 때문에 통장주인과 건물주 이름이 다르다면 왜 다른지에 대해서 꼼꼼하게 따져봐야 한다.

게티이미지뱅크

3. 원룸 계약 후, 해당 지역 동사무소에 원룸계약서 원본을 지참해 전입신고와 함께 확정일자 받기

이는 만약 원룸에 문제가 생겼을 때 보증금을 보호하기 위해 나라에서 정한 일종의 안전장치다.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받지 않으시면 나라에서는 약자인 세입자를 위해 아무런 구제를 해주지 않는다.

연합뉴스 

4. 계약서 내용의 원룸에 있는 물품이 일치한가?

계약서를 보면 원룸 내 물품이 적혀있다. 예를들어 TV, 냉장고, 에어컨부터 여러 옵션들이다. 원룸에는 집주인을 비롯해서 원룸을 관리해주는 주택관리가 있는데 의외로 원룸주인은 원룸 내의 세세한 부분까지 챙기지 못해 작은 리모컨같은 것들이 있는지 없는지 잘 모르는 경우도 많다. 만약 방 계약을 마치고 나올 때 애초부터 없었던 리모턴 같은 물건을 집주인이 없다며 청구를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래서 원룸에 처음 들어간 날 잘 둘러보고 사진을 찍어둔다. 하자가 있는 부분은 입주를 한 후 빠른 시일 내 집주인에게 알려 본인 과실이 없음을 알려야 한다. 뒤늦게 알리게 되면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그 손실을 배상하라고 할 수도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5. 턱없이 비싼 보증금, 조정할 수 없을까? 있다!

원룸의 보증금은 고정 금액이 아니다. 보증금이란 월세가 밀렸을 때 보증금에서 제외할 목적과 동시에 옵션(EX)냉장고, 에어컨, TV 등)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등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그래서 보증금을 조금 내려달라고 요청한다면 충분히 내릴 수 있고, 월세가 조금 비싼데 보증금을 더 내고 월세를 내리는 것도 요청해 볼 수 있다.

한편 1인 가구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지난해에는 전체 가구의 30%가 1인 가구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18년  통계청, 인구총조사에 따르면 1인 가구수는 584만 8,594가구로 집계됐다. 1인 가구가 증가하는 배경에는 고령화, 저출산, 이혼 및 동거의 증가, 혼인 연령 상승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와 함께 아예 결혼을 하지 않거나 결혼을 한 부부더라도 자녀를 갖지 않는 딩크족의 증가로 2인 가구도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2015년을 기준으로 했을 때, 1인 가구 중 60대 이상의 고령층이 차지하는 비중이 34%로 가장 높았으며 20대(16.9%), 30대(17.3%), 40대(14.5%), 50대(16.1%)의 순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