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라리아·HIV 등 유력한 치료제들 효과 논란
혈장치료·중화항체 관련해서도 추가연구 필요

[금강일보 김미진 기자] 코로나19가 창궐한 지 어느덧 100일 째다. 전 세계적 수많은 기업 및 연구진들이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몰두하고 있지만 성공까지 당도할 수 있는 길은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해외에서 유력한 치료제로 떠오르고 있는 렘데시비르, 하이드록시클로로퀸, 히든카드라고 불리는 혈장치료조차 효과 논란에 휩싸이면서 코로나19와의 혈투는 금방 끝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최근 정례브리핑에서 "방역당국이 결코 경계를 풀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전 세계의 엄청난 피해를 주고 있는 코로나19에 대해 아직도 모르는 점이 너무 많다는 것“이라며 ”현재까지 치료 효과가 입증된 코로나19 치료제는 없다.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 개발이 녹록지 않다. 회복기 혈장 또는 일부 후보 치료제에 대한 부작용마저 지적되고 있어 방역당국으로서는 조금 실망스러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현재 코로나19 관련 진행 중인 임상시험은 수백 개에 이르지만 진전이 있는 의약품들은 손에 꼽힐 정도로 적다. 성공률을 가늠할 수 있는 신약도 없어 코로나19에 대응할 수 있는 백신이 탄생하기까지는 아직 멀었다는 게 일부 지역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설명이다.

대덕특구에서 바이오메디컬 관련 연구소기업을 운영하는 A 씨는 “치료제 연구로 앞서 있던 말라리아 치료제(클로로퀸)나 HIV 치료제(칼레트라)는 현재 부작용과 관련한 논란이 있으며 한창 주목받고 있는 렘데시비르 역시 효과 부족 논란이 일어 현재로써는 향후 단기간에 백신을 개발해 상용화까지 이끌기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며 “혈장치료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지만 아직은 명확하게 효과가 입증된 것은 아니라 해당 치료법을 권고하거나 말거나 하기엔 더 많은 임상시험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귀띔했다.

일각에서는 코로나19 확진환자의 중화항체 형성 가능성에 대해서도 추가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대전 B 상급종합병원 관계자는 “최근 코로나19 확진환자 25명을 대상으로 한 분석실험에서 바이러스 감염 후 회복 단계에서 전염력을 떨어뜨리는 중화항체가 형성된 것을 확인했다”며 “그러나 방역당국이 강조했듯, 중화항체가 형성됐다고 하더라고 바이러스에 대한 방어력이 있는지 없는지 여부가 확실하지 않다. 좀 더 연구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항체검사법 자체도 현재 표준화가 돼있지는 않은 상황"이라며 "적절하게 표본을 설정을 했는지, 적절한 시약을 사용해서 검사했는지, 이런 부분들이 조금 더 개발되고 조금 더 표준화돼야 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도 항체검사법에 대한 검사법 확립을 진행하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다.

현재 방역당국은 대구·경북지역처럼 지역사회 감염이 광범위하게 일어난 지역을 대상으로 항체 양성률에 대한 조사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김미진 기자 kmj0044@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