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랏말싸미 역사왜곡 논란...실제 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과정은?

 나랏말싸미가 방송되면서 역사왜곡 논란이 재조명되고 있다.

나랏말싸미는 지난 2019년 개봉한 영화로 조철현 감독, 송강호(세종대왕), 박해일(신미 스님), 전미선(소헌왕후) 주연, 김준한, 차래형, 윤정일, 탕준상, 금새록이 출연했다.

영화 나랏말싸미는 가장 낮은 곳에서 왕인 세종과 함께 힘을 합쳐 한글 창제를 도왔던 신미와 학조, 학열 등 스님들의 이야기를 담은 작품이다.

영화 제작진은 한글에 대한 흥미와 더불어 감독을 사로잡았던 것이 사후에 평가되는 위대함의 이면, 그 실체에 관한 것이었다고 밝혔다. 모든 위대함은 상처와 실패를 딛고 이뤄진 것이 아닌가라는 깨달음은 세종과 신미, 소헌왕후가 그려내는 삼각형에도 그대로 적용되었다고 전했다.

사진=네이버 영화

'나랏말싸미'는 이런 정설이 아니라 '야사'를 다룬다. 억불정책을 펴던 세종이 비밀리에 승려 신미와 손잡고 한글을 만들었다는 가설이다. 극 중에선 신미가 세종의 조력자 수준을 넘어 거의 혼자 한글을 만들다시피 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이에 조철현 감독은 제작사 ㈜영화사 두둥을 통해 입장문을 내어, 훈민정음 창제 주역으로 신미 스님을 내세우거나 세종대왕을 폄훼하려는 의도가 없었다고 밝혔다.

조 감독은 "이 영화는 세종대왕이 문자를 만드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 영화다. 고뇌와 상처, 번민을 딛고 남은 목숨까지 바꿔가며 백성을 위해 문자를 만들어 낸 그의 애민 정신과, 세상에 없던 새로운 것을 만드는 군주로서 위대해져 가는 과정을 극화한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세종대왕께서 직접 쓴 훈민정음 서문에 있는 '맹가노니'라는 구절로 압축되듯이 무언가를 창조한다는 일의 어려움과 가치를 생각해보자는 것이 이 영화의 취지"라고 부연했다.

또한 '나랏말싸미'가 세종대왕을 깎아내린다는 지적에 관해서도 "제작진의 마음과 뜻은, 훈민정음을 창제한 세종대왕을 폄훼하고자 한 것이 결코 아니다"라고 부인했다.

조 감독은 "신분과 신념의 차이에 연연해하지 않고, 제왕의 권위까지 버리면서 백성을 위해 처절하게 고민했던 세종대왕의 인간적인 면모를 그리고자 했다"면서 "소통과 노력의 부족으로 이런 점이 충분히 전달되지 못했던 점을 너무나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조 감독은 역사 왜곡 논란으로 인한 '나랏말싸미'에 쏠린 부정적 관심에 대해 "부족함은 저의 몫"이라며 "관객 여러분의 마음을 존중한다"고 글을 맺었다.

훈민정음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한편 훈민정음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1443년에 세종이 창제한 우리나라 글자를 이르는 말이다. 

조선 제 4대 세종대왕은 백성들이 말은 할 수 있어도 글을 알지 못하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서 세종 25년 12월에 우리의 고유문자이며 표음문자인 한글을 만들고, 28년에 훈민정음을 반포했으며 한글은 17자의 자음과 11자의 모음인 28자로 구성되어 있다.

훈민정음은 만든 목적이 분명하고 만든 사람과 만든 시기가 분명한 글자는 한글이 세계적으로 유일하다. 한글 창제와 반포에 대해 당시에는 많은 반대가 있었지만 세종은 한글로 된 최초의 노래인 ‘용비어천가’를 짓는 등 한글의 사용을 적극 권장하고 활용하도록 했다.

한글이 점차 보급되면서 서민들은 생각과 뜻을 글로 적을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민원 해소, 농업기술의 전수, 친지간 편지 왕래 등 일상생활에서 한글이 활용되었으며 서민들의 생활 개선과 의식 성장을 가져왔다.

훈민정음은 집현전학자와 세종대왕이 만든것으로 알려졌으나 실제 세종대왕이 직접 만든것으로 알려지며 놀라움을 안기기도 했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