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많은 국가들이 놀라운 현대화를 이루는 것을 보아 왔다. 그중에서도 1970년대부터 중국과 한국의 경제적 성장, 그리고 2000년도 동중유럽 국가달의 성공 사례들도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사례들은 국가들이 여러 도전을 통해 불균형을 극복하고 세계로 우뚝 성장해 나가는 사례들이다.

카자흐스탄은 1990년대부터 현대화의 여정을 시작했다. 1990년대 소련 붕괴의 어려운 시기와 동시에 카자흐스탄은 부활과 도약을 시작하였다. 이것이 역사의 새로운 시작이었으며 국제안보, 에너지 및 석유 시장 분야에서 일어나는 많은 사건의 중심에 있었다.

1900년대는 밝고 새로운 희망의 시절이었으며 세계지도에는 새로운 국가들이 등장하였다. 세계 공동체는 새로운 역사의 시기를 맞이 하였다. 세계화는 상호 협력을 통해 그동안 겪어보지 못했던 세계적인 도전 과제를 해결해 나가며 상호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이런 “혼돈의 시기” 카자흐스탄은 국제적인 국가로 성장하면서 20세기에는 주권 국가로서 새로운 역사의 첫 페이지를 기록하였다.

초기 카자흐스탄이 어떤 길로 가야 할지에 대한 다양한 상황 속에서 현재의 카자흐스탄이 탄생할 수 있도록 하게 만든 가장 중요한 요소는 초대 대통령의 역할이였다. 역사적으로 제일 어렵고 많은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에 국민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책임감을 가지고 국가의 발전에 대한 명확한 비전을 끝까지 이어갈 수 있는 인물이 필요하다. 나자르바예브 초대 대통령은 터키의 아타튀르크, 프랑스의 샤를드골, 말레이시아의 마핫티르 무하마드, 싱카포르의 리콴유, 중국의 덩 샤오핑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지도자들과 카자흐스탄의 역사를 만들어가는데 많은 역할을 수행하였다.

1991년 12월1일 국가의 가장 높은 자리에 국민들로부터 선출된 누르술탄 나자르바예브는 “낭떠러기 끝에 있던” 젊은 국가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 당시의 상황을 기억하면, 소비에트 붕괴 이후 카자흐스탄은 그렇게 좋지 않은 상황이었다. 통계에 따르면 소련은 다른 나라들 보다 경제 및 기술 분야에서 많이 뒤쳐저 있던 상황에서 카자흐스탄은 더욱 열악한 상황을 넘겨 받아야 했다. 소련은 카자흐스탄을 농장 또는 재료 공급처로 취급하였다.

소련의 갑작스런 붕괴로 1990년에서 1994년도까지 카자흐스탄의 산업 생산량은 절반 이하로 감소하였으며, 운송은 2/3, 농업은 30% 이상 감소 하였다. 석탁, 광업 및 기타 연계 산업이 사실상 멈추면서 대량의 실직으로 인해 대규모 경제 이주가 시작되었다. 카자흐스탄은 소련에 널리 퍼져 있었던 비효율적인 경제 모델을 극복해야 했다. 초대 카자흐스탄 대통령이 이끄는 젊은 카자흐스탄은 이러한 고난을 이겨나가야 했다. 초대 대통령은 항상 선진 개발 경험에 관심이 많았으며 성공적인 국가의 역사를 깊이 연구했다.

그는 자신의 개발 방식을 “첫 번째, 경제, 그리고 정책”으로 제시 하였습니다. 즉, 처음에는 국가가 경제 개발을 우선하고, 이를 바탕으로 민주주의 제도의 발전을 이루는 것. 오늘날 이 경험은 “나자르바예프 모델” 또는 카자흐스탄의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기사에 30년의 광대 한 역사를 포함할 수 없지만, 간단히 말해서 카자흐스탄 대통령의 노력은 세 가지 주요 개혁 및 개발 단계에 초점을 맞췄다. 카자흐스탄은 정치적 발전을 위한 모델로 민주주의를 선택했다.

커저흐스탄은 1995년의 새 헌법에 근거하여 입법부 사법부, 행정부의 정치 체제가 만들어졌다. 당시 카자흐스탄은 국가의 장기 발전을 위한 전략을 개발하면서 예상치 못한 조치를 취했다.

카자흐스탄의 2차 현대화는 1990년대 3/4 분기에 시작되어 2010년 중반에 완료되었다. 

이 기간 동안 조직적으로 변화된 카자흐스탄은 어려운 개혁과 많은 노력으로 좋은 결과를 거두기 시작했다.

누르술탄 나자르바예브의 지도하에 경제는 지속 가능한 성장의 길에 들어섰으며, 국가 기관과 일반인들에게 현대적인 제도가 형성되었다. 

1990년대 초 1인당 GDP가 700달러 였지만 2013년에는 이미 12,000달러에 도달하여 사회 복지가 개선되었다.

당시 공화국의 성공적인 주요 성과는 국가의 새로운 수도를 이전하고 건설하는 것이 었으며, 현재 초대 대통령의 이름은 누르술탄이다.

2012년 카자흐스탄은 세계에서 가장 경쟁이 높은 50개국 중 하나였다. 같은 해에 누르술탄 나자르바예브는 카자흐스탄 2050 전략에 수십 년 후 세계 선진 30개국의 하나로 자리 잡아야 한다는 새로운 야심 찬 개발 목표를 제시하였다.

이 목표를 향한 카자흐스탄의 진보적인 움직임은 제 1대통령이 2017년에 발표 한 3번째 근대화를 통해 달성할 예정이다.

새로운 개발 목표의 달성은 책임을 질 수 있는 국가로 만들기 위해 지속적인 개력을 이어나갈 것 이다.

카자흐스탄은 세계 핵 안보 분야의 주요 활동 국가 중 하나가 되었으며, 평화 유지 정책 및 나고르노 - 카라바흐, 이란, 우크라이나, 시리아 등의 분쟁 해결을 위한 노력으로 많은 결과를 달성하였다.

카자흐스탄은 세계 무역기구 (WTO)의 회원이 되었으며,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의 시행으로 인해 육상 통로를 통과하는 동유럽과 서 유라시아 간의 활발해진 무역 흐름의 운영자가 되었다.

나자르바예브의 지도하에 현대화의 3단계 정책 결과로 “도약”을 하였으며, 망설임 없이 신속히 정치적 시대와 경제적 체제로 이동 할 수 있었다.

이제 나자르바예프 전 대통령은 80세가된다.

카자흐스탄 국민은 임기 기간 동안 많은 시련을 이겨내며 국민을 이끌어주고 젊은 국가를 강하고 새롭게 도약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 초대 대통령이자 성공적인 개혁가의 생일을 존경과 감사의 마음으로 기념할 것이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