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대부분 다수 의석을 차지하고 있는 충청권 지방의회들이 곳곳에서 파열음을 내며 코로나19 사태로 가뜩이나 어수선한 지역민들의 불쾌지수만 높이고 있다. 후반기 의장단 선출을 놓고 여여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데다 일부 의원들의 감정싸움까지 겹치면서 기능이 마비돼 지방의회 존재감을 떨어뜨리고 있는 것이다.

제8대 후반기 원 구성을 놓고 심각한 여여(與與) 갈등을 보이고 있는 대전시의회는 당론파와 비당론파로 분열돼 서로에 적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민주당 의원총회에서 의장 후보로 결정됐으나 본회의에서 낙마한 권중순 의원(중구3)은 의원직 사퇴서를 제출했고 당론파 의원들은 시의회 로비에서 무기한 농성에 돌입했다.

당론파 의원들은 전반기에 상임위원장 등 보직을 맡지 않았던 의원들이고 비당론파는 전반기에 보직을 맡았던 의원들로 구분된다. 전반기 의총에서 전반기에 보직을 맡았던 의원은 후반기에 보직을 맡지 않기로 결정한 것에 대해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지키지 않아도 된다는 주장이 대립하고 있는 것이다.

대전시의회가 원 구성을 놓고 파행을 겪고 있는 것이 바로 자신들의 자리싸움 때문임을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총 22개 의석 중 21석을 차지하고 있는 민주당 내 의원들의 감투싸움이 의회 기능을 마비시키고 있는 것이다. 자신들을 뽑아준 주민들은 안중에도 없다.

대전시의회뿐만 아니라 서구의회도 사실상 기능이 마비 상태다. 후반기 의장단은 선출했지만 의장 선거 과정에서 민주당 서구 갑·을 지역구 의원들 간의 갈등 후유증으로 갑 지역구 의원들이 본회의를 보이콧, 의결정족수 미달로 상임위원장을 선출하지 못한 채 의사일정을 소화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방의회가 의장단 등 원 구성을 놓고 갈등을 빚어온 것은 비단 이번만은 아니다. 4년 임기 중 2년마다 치러지는 의장 선출을 놓고 의원들 간 자리싸움으로 곳곳에서 파행을 겪고 일부 의회는 의원들 간 감정싸움으로 비화돼 의회 운영 전반에 악영향을 끼치기 일쑤였다.

이런 상황이 벌어질 때마다 지방의회가 과연 필요한 것인가 하는 비판여론이 일었다. 한 때는 기초지방의회를 없애는 등 지방의회를 대폭 축소해 운영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받기도 했다. 이는 지방의회 의원들이 자초한 부분이 크다.

더구나 지금은 다른 때와 달리 코로나19라는 비상시국이다. 주민과 힘을 합쳐 이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해도 부족한 판에 감투싸움으로 의회 기능을 마비시키고 있다면 지방의회의 존재의미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풀뿌리 민주주의라고 불리는 지방자치가 일부 의원들의 자리싸움으로 인해 존재가치를 떨어뜨리는 현실이 안타깝다. 지방의원들의 대오각성을 촉구한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