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대는 소통하라' 상명대에 이어 실검 총공...성적우수장학금 폐지 논란

온라인 커뮤니티

 대전대학교 재학생들은 26일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실검 총공을 벌인다.

대전대학교는 올해 성적우수장학금을 갑자기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성적우수장학금 대신, 재학생 모두에게 이를 재난지원금처럼 지급하겠다는 건데, 학생들의 노력을 무시하는 처사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소식을 들은 학생들은 학교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 불만을 쏟아냈으며 대학 측은 확정된 건 아니라면서도, 아직 성적 장학금 폐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대전대학교 총학생회 측은 대전대 총장과의 면담을 통해 성적장학금에 대한 입장을 전했다.

총학은 SNS를 통해 성적장학금에 대해 "성적 향상 장학금의 경우 작년 신청자는 150명인 반면에 이번 학기 신청자가 2000명 이상으로 전년대비 대폭 증가하여 장학금 지급 대상 선정 기준이 모호하게 되어 이에 대한 문제점을 고려해 '코로나 특별장학금'으로 포함시켜 지급 하는 방안을 검토중에 있다" 고 전했다.

이같은 학교의 움직임에 다음 달 교육부의 비대면 교육 지원 사업 선정을 앞두고 성적장학금을 등록금 환불로 쓰는 실적쌓기용 꼼수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으며 이런 가운데 최근 등록금 일부를 환불하기로 한 공주대와 한남대는 성적장학금을 유지해 대조를 보인다.

온라인 커뮤니티

한편 24일 상명대학교도 실검 총공을 벌였다.

학생들은 학교 측의 2학기 대면 수업 강행, 성적장학금 폐지 후 코로나19 특별 장학금 명목의 등록금 반환 강행, 간담회 등 소통 창구 일방적 연기 등을 문제 삼았다.

상명대학교 학생들은 “코로나가 끝나지 않은 이 상황에서, 많은 학생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는 대면 강의의 강행을 중단”, “학생들의 등록금 반환 요구를 성적장학금으로 대체하려고 하지 말라”, “학교는 학생들과 소통하라. 더는 간담회를 회피하지 말라”는 등의 세 가지 요구 사항을 제안했다.

또한 이들은 24일 진행하고자 했던 간담회가 학교 측에서 하루 전날인 23일 오후 11시에 연기되었다는 공지를 올리며, 일방적으로 간담회를 연기했다며 분노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또 24일 이후 교직원들의 휴가 등의 일정이 잡혀있어 학생과 학교간의 소통창구가 막혔다며 분통을 터트렸으며 상명대 학생들은 '상명대는 소통하라'라는 실검 총공에 발 벗고 나서며 학교 측이 학생들과 소통하길 바라고 있다.

서울대학교

24일 대학가에 따르면 서울대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경희대, 국민대 등은 2학기 비대면 수업과 대면 수업을 혼합해 진행하기로 했다. 대면 수업 기간 등 혼합 방법은 학교마다 제각각이다. 다만 실험이나 실습이 필요한 강의와 수강생이 적은 소규모 강의는 비대면과 대면을 혼합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서울대는 전공수업의 경우 비대면·대면 수업을 혼합하되 구체적인 기간은 각 수업 특성에 따라 자유롭게 정하도록 했다. 교양수업 중 이론수업은 비대면을 원칙으로 하지만 20명 이하 소규모 강의는 대면과 비대면을 혼합한다. 실험·실습이 필요한 강의는 전부 비대면 혹은 비대면·대면 혼합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반면 고려대와 성균관대, 한국외대, 숭실대, 한성대, 상명대, 서울여대, 숙명여대 등은 2학기 수업 운영 계획을 아직 확정하지 못했다. 고려대는 "아직 결정된 바가 없다"고 했고, 한국외대와 상명대는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지난 1학기 중간·기말고사가 온라인으로 진행되면서 일부 학생들의 부정행위가 적발돼 논란이 일었다. 특히 일부 과목은 시험을 과제물로 대체하면서 시험을 진행했던 강의와의 형평성 문제도 대두됐다.

서울대에서는 박사과정에 있는 한 외국인 학생이 한국어 강의 온라인 시험 및 과제 제출 과정에서 부정행위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세대 공과대학 수업에서는 일부 학생들이 평가 대상인 과제물을 서로 베껴 제출한 정황이 발견됐다.

한국외대는 지난달 18일 온라인으로 치러진 교양과목 기말고사에서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을 이용해 학생들 간 정답 공유가 이뤄진 것으로 조사됐다. 채팅방에는 학생들 700여명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2학기 시험을 대면 시험으로 진행하겠다고 밝힌 학교는 현재로서는 경희대뿐이어서 공정성 논란은 지속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