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블랙홀’ 현상 갈수록 심화에 불만 폭증

최근 정치권을 중심으로 행정수도 이전 논의가 활발하게 펼쳐지면서 한동안 잠잠했던 '공주시-세종시' 통합 주장이 서서히 고개를 들고 있다. 사진은 세종시 공식 출범 전인 2012년 1월 공주-세종 간 상생발전 공청회의 한 장면. 이건용 기자

[금강일보 이건용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행정수도 이전 카드를 꺼내들면서 국가균형발전에 대한 지역사회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세종시-공주시 통합론’이 서서히 고개를 들고 있다.

세종-공주 통합 목소리는 지난 2012년 세종시 출범 이전부터 줄곧 이어져온 화두로, 세종시가 인구와 자본을 빨아들이는 ‘블랙홀’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면서 통합 목소리는 더욱 거세지고 있다.

당시 세종시 원안사수를 목청껏 외치던 공주시민들은 충남 연기군 전역이 ‘세종시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에 포함되자, 세종시에 편입된 공주시의 3개면 21개리에 이르는 주변지역을 제척(除斥)해 줄 것을 강력 촉구했고, 일부 시민들은 공주시 전체를 세종시에 편입해 줄 것을 촉구했다.

하지만 정부는 공주시민들의 어떤 요구도 받아들이지 않았다. 결국 공주시는 전체 면적의 8.2%인 76.1㎢와 인구의 4.8%인 5846명을 세종시에 넘겨줘야 했다.

때문에 매년 교부세 및 시세 손실 173억 원, 편입지역 부동산 가액 1조 8000억 원, 시유재산 감소액 132억 원, 지역 내 총생산액 감소액 3500억 원 등의 막대한 재정적 손실을 입었다.

남양유업을 비롯해 한국영상대학(전 공주영상대학), 농협연수원, 산림박물관, 32사단 등의 공공기관 이전은 물론 세종시 출범 이후 젊은 층이 세종시로 물밀 듯 빠져 나가 당시 12만을 육박하던 인구는 8년이 지난 지금 10만을 간신히 넘기고 있는 형편이다.

특히 세종시의 ‘빨대현상’이 가속화되자 시민들은 크게 낙담했다. 지난 2004년부터 신행정수도 사수를 위해 촛불시위, 삭발시위, 궐기대회, 상경집회 등 세종시 출범에 앞장선 결과가 이것이냐는 자성의 목소리였다.

이후 세종시 주변지역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을 놓고 많은 논의가 있었지만, 이마저도 이렇다 할 성과를 도출해내지 못하면서 “누구를 위한 세종시냐, 막대한 재산을 세종시에 헌납한 꼴이 우습게 됐다”는 불만이 팽배해 왔다.

사정이 이쯤 되자 세종시와의 통합이 답이라며 지역 정치권까지 나섰다. 안도성 전 공주시상가번영회장 등에 의한 줄기찬 통합 주장에 고광철, 이창선, 윤완중, 박수현 등의 정치인이 화답했다. 공주시-세종시 통합이 제19대 총선 공약으로 등장했고, 2016년 제20대 총선에서도 국민의당 충남도당을 비롯한 정치인들이 통합을 공약으로 내걸기도 했다.

휴화산 상태로 한동안 잠잠했던 통합 주장이 최근 정치권을 중심으로 행정수도 이전 논의가 활발하게 펼쳐지면서 봇물처럼 터지는 모양새다.

세종시 출범이 오히려 지역발전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작용해 온 만큼 더 이상 늦춰서는 안 된다는 지적으로, 통합 논의에 적극 나서 시익을 최대한 챙겨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정섭 공주시장 또한 오는 29일 정례브리핑에서 세종시와의 통합과 관련한 기본 입장을 밝힐 것으로 알려져 세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편 정진석 미래통합당 국회의원(충남 공주·부여·청양)은 “세종시 안쪽으로만 국가기관을 추가 배치한다면, 또 다른 과밀화를 초래하고 주변지역은 상대적 박탈을 감수해야 할 것”이라며 “‘세종시+알파'로 청사진을 수정해야 한다. 미국의 메트로포리탄처럼 세종시 반경 한 시간 거리지역까지 분산효과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자신의 SNS에 “지금의 세종시만으로는 수도권 과밀해소와 국토균형발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없다. 국가균형발전의 거점으로 세종시를 행정수도화하려면 정략을 버리고 실질적인 실천계획을 진지하게 수립해야 한다”면서 “행정중심도시에 경제 과학도시를 병렬로 추가 분산 배치해야 지속가능한 균형발전 거점도시의 위상과 자족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세종 메가시티' 혹은 '메가시티 세종'으로 행정수도 계획을 전면 수정 보완하면 국회의사당이나 청와대, 대법원 등 국가기관을 굳이 세종시 안으로만 몰아넣지 않고 세종시 주변지역까지로 확대 분산 배치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주=이건용 기자 lgy@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