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6G R&D 추진전략' 마련
내년부터 5년간 2000억 원 투자

[금강일보 곽진성 기자] 정부가 6G(세대) 통신 시대에 대비해 기술 개발과 표준 선점을 준비한다. 세계 최초의 6G 상용화 도전이라는 점에서 주목되는데, 성과를 내기 위해선 풀어야 할 과제가 적잖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정부는 6일 제12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열고 ‘6G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미래 이동통신 R&D 추진전략’을 의결했다. 이날 정부는 차세대 기술선점, 표준·고부가가치 특허 확보, 연구·산업 기반조성 등 3개 전략 8개 과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내년부터 5년간 약 20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정부 투자 방침에 대해 기대감 어린 목소리가 나온다. 6G 서비스가 상용화하면 실시간 완전 자율주행차·플라잉카, 원격수술 등의 융합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6G는 1Tbps(테라비트)급 전송속도를 특징으로 하며 저궤도 위성 통신을 통해 공중 10㎞까지 통신 커버리지를 확보할 수 있다는 평가다.

다만 과제도 만만찮다. 한국은 지난해 4월 세계 최초로 5G 서비스를 상용화했지만 성과는 그리 빛나지 못 했다. 핵심 부품 대부분이 외국산이고 5G 기반 융합서비스(B2B) 성적이 저조했다는 점에서다. 이 같은 전철을 밟지 않아야 한다는 당부가 나온다. 미국, 중국 등 세계 주요국들이 6G 세계시장 선점을 위해 국가 주도 R&D에 착수하는 등 글로벌 기술 경쟁이 치열하다는 점도 부담이다.

정부는 이러한 상황과 해당 기술분야에 민간이 투자하기 어렵다는 것을 감안, 6G 핵심원천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미국, 중국 등 선도 연구기관들과 기술동향을 공유하고 공동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또 국제전기통신연합(ITU)·국제민간표준화기구(3GPP)·특허청 등 국내·외 표준화 기구와 협력해 표준 특허를 확보하고 표준 전문조직을 육성하고 국내에 국제 표준화 회의를 유치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특히 6G 전문 인재를 양성하고자 R&D 참여 대학과 기업 간 연계를 강화하고, 온라인 교육 콘텐츠 등을 제공한다. 또한 정부는 민관이 참여하는 6G R&D 전략위원회와 6G 핵심기술개발 사업단을 꾸려 전문가들과 6G 사업 목표와 추진현황, 국제 표준화 동향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정부 관계자는 “6G 핵심부품?장비의 국산화에 활용될 수 있는 시작품(HW, SW) 개발, 유망중소기업의 바우처 방식 R&D 지원 및 6G 최고급 인재양성 등을 통해 튼튼한 연구 기반과 산업 성장의 토양도 함께 조성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곽진성 기자 pen@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