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관섭 배재대 대학일자리본부 취창업지원팀장

 

고용노동부가 지원하는 대학일자리센터사업은 5개년 사업으로 지난 2016년부터 시작됐다. 이 사업은 선정절차가 엄격하고 매년 평가를 받아야 하는 등 까다롭지만 많은 대학들이 선정되길 원한다.

현재 전국 108개 대학이 수행하고 있는데, 정부-대학-지자체가 공동으로 예산을 투입하여 대학생 및 청년들이 접근하기 용이한 대학에 진로지도 및 취·창업지원 기능을 일원화하여 지역 청년고용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것이 골자다.

각 대학 일자리센터는 이미 대학생과 지역 청년들에게 원스톱 고용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108개 대학이 600여 명의 취업컨설턴트를 채용하여 지난해만도 연간 161만 5000여 건의 진로취창업 상담을 진행했다.

대학마다 평균 51개의 취업관련 프로그램 운영하여 전체학생이 1.5개를 참여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 지역 청년 26만여 명에게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했으며, 청년고용정책에 대한 홍보 역할도 충실히 진행하여 인지도와 만족도가 매년 상승하고 있다.

올해 5년차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배재대도 교내에 흩어져 있던 진로취창업분야 업무와 공간, 인력이 대학일자리본부로 일원화됐다. 취업컨설턴트 7명이 학과별 교수들과 협업하여 1학년 때부터 진로설계 상담을 진행한 후 학년별 맞춤형 취업준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취업연계 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 인근대학과 합동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한편 대전시 일자리경제국 및 대전고용복지+센터 등 관계기관과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특히 올해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오프라인 개강 지연으로 면대면 진로취업 프로그램 진행이 어려웠던 학기 초에 곧바로 다양한 언택트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었던 것도 전문 인력들이 지난 4년간 쌓은 노하우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이처럼 제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는 대학일자리센터사업이 위기를 맞고 있다. 고용노동부와 기획재정부의 내년도 정부예산 책정 협의과정에서 관련 예산이 반영되기 어렵다는 전언이다. 이렇게 되면 올해 마지막 년차 사업을 진행하는 41개 대학을 시작으로 2024년이면 모두 종료된다.

정부는 청년 고용을 위해 매년 수조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대학일자리센터에 들어가는 예산은 불과 220억이다. 이 사업의 핵심이 대학생 청년들의 진로취창업 역량강화이다 보니 정책입안자들의 입장에서 보면 단기성과물인 취업률 수치와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대학일자리센터사업이 지속되지 않는다면 그동안 축적해 놓은 진로취창업 시스템이 한순간에 붕괴될 가능성이 높다. 대부분의 청년들이 대학생임을 감안할 때 대학생활 중에 양질의 진로취창업 서비스를 받지 못한 채 그대로 사회로 진출할 경우 국가가 담당해야할 후속 비용은 천문학적으로 늘어날 수밖에 없다.

정부가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뉴딜정책의 청년 고용지원 정책에 대학일자리센터 후속사업을 포함할 것을 요청한다. 청년 고용정책은 가시적인 것과 거시적인 것이 적절이 어우러져야 제대로 된 효과가 나온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효용성이 높은 대학일자리센터사업은 폐지가 아니라 오히려 확대되어야 한다. 아직은 둑이 무너지지 않았으니 호미로 충분히 막을 수 있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