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지방정부 중 선봉에 서서 탈석탄 정책을 펼치며 주목받고 있다. 지금껏 단호하게 탈석탄 정책을 추진했고, 앞으로도 이를 소신 있게 밀고 나아가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거듭 천명하고 있다.

그 중심에 양승조 충남도지사가 있다. 양 지사는 뉴욕에서 유엔 기후 정상회의 기념 프로그램으로 열린 행사에 지방 정부 대표 자격으로 참여해 충남도의 탈석탄 정책에 관해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양 지사는 이곳에서 화력발전소가 다수 입지해 있는 충남도의 현황을 설명하고, 탈석탄과 함께 기후위기에 대응할 향후 대책에 대해 공식 석상에서 소개했다. 국제적으로 약속을 한 셈이다.

실제로 충남도는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이 1억 7700만 톤으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단연 으뜸이다. 그래서 미세먼지 발생이 늘 위험 수준이다. 충청권 전체가 그 영향을 받고 있다.

충남에서 발생하고 있는 온실가스의 절반 이상인 9000만 톤이 도내에 산재해 있는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고 있다. 산업적 측면에서는 효자 노릇을 했을지 몰라고 환경 측면에서는 공포 그 자체이다.

양 지사는 취임 이후 줄곧 충남도의 정책에서 탈석탄을 앞세웠다. 노후 화력발전소를 예정보다 2년 앞당겨 폐쇄할 수 있도록 했고, 남은 화력발전소가 성능 개선을 통해 수명을 연장하지 못하게 했다.

지금껏 충남도가 역점을 두어 추진하고 있는 탈석탄 정책은 도민 모두가 적극 지지하며 환영하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탈석탄 이후 에너지 개발 정책에 대한 대안이 뚜렷하지 않다는 점이다.

도는 2040년까지 도내 신생에너지 발전량을 40% 이상 향상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그것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이 없다. 신재생에너지 개념이 너무 폭넓고 다양하다 보니 막막하다.

태양광에너지나 풍력에너지를 늘이는 것을 의미한다면 다소 실망스럽다. 지금껏 보여준 태양광발전소나 풍력발전소는 너무 조악하고, 환경 파괴가 심할 뿐 아니라 효과도 미흡하다.

그러니 구체적 계획을 제시하지 않고,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늘리겠다는 발표는 불안감을 양산한다. 다수의 도민이 이해하고, 환영할 만한 신재생에너지가 뚜렷하지 않기 때문이다.

노후 화력발전소를 조기 폐쇄하고, 석탄발전 비중을 감소시켜 간다는 정책에 반대할 이는 아무도 없다. 탈석탄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를 막는 최선의 대안임을 알기 때문이다.

그러나 선언에 집착한 나머지 그 후속 대안 마련이 부족하지 않을지 지켜보는 견해에서 걱정이 앞선다. 도민이 확신하도록 구체적이고 확실한 대안을 마련해 소상히 알려주기 바란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