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일보] 코로나19의 유행으로 비대면 거래가 급증하고 수익이 줄면서 대출이 필요한 사람이 늘면서 보이스피싱 피해도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추석을 앞두고 코로나19 관련 긴급재난지원 및 결제와 택배 배송 확인 등을 사칭한 신종 수법들이 등장하면서 보이스피싱 범죄에 빨간불이 켜진 상태다. 경찰 등 당국의 적극적인 대처도 중요하지만 시민 각자가 예방법을 숙지하고 신경쓰는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보이스피싱은 과거에는 대출을 빙자해 전화가 오거나 경찰이나 검찰, 금융감독원 등 수사기관과 지인을 사칭, 돈을 이체받는 수법이 많았다. 또한 자녀납치 및 사고를 빙자해 부모로부터 돈을 송금받거나 문자로 물품대금·숙박비 등을 실수로 송금했다며 반환 또는 차액을 요구하는 사례도 발생했다.

최근에는 계좌이체형 범죄는 줄었지만 직접 피해자를 만나 피해금을 전달받는 사례와 상풍권 일련번호를 요구하는 등 새로운 수법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앱 주소가 포함된 휴대폰 문자를 대량 전송한 뒤 이용자가 악성 앱을 설치하거나 전화를 하도록 유도해 금융정보·개인정보 등을 탈취하는 스미싱도 증가일로다.

경찰에 따르면 올 들어 8월까지 대전에서 소비스피싱 피해건수가 692건 발생해 피해액이 139억 9000만 원에 달했다. 같은 기간 충남에서도 853건 발생 피해금액이 176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국을 기준으로 올 들어 8월까지 스미싱 탐지 건수는 70만 783건으로 전년(18만 5369건)과 비교해 378%나 급증했다. 이 중 코로나19 관련 긴급재난지원금을 사칭한 스미싱은 1만 건이 넘었다.
보이스피싱 수법이 진화하고 피해가 늘어나면서 경찰 등 수사당국은 예방대책 및 수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전경찰청은 보이스피싱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와 피해유형별 대처방법을 설명하는 영상을 제작·배포하고 있다. 충남경찰청도 전화금융사기 합동대응반을 운영해 매주 분석회의를 열며 수사대별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

이와 같이 당국의 보다 적극적인 대처도 중요하지만 시민 각자가 대응법을 숙지하고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다. 특히 보이스피싱은 한번 피해를 입으면 범인을 잡기도 어렵지만 설사 잡았다 해도 사법적인 절차가 이뤄지는 시기에 범인은 무일푼으로 변하기 때문에 피해금액을 돌려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예방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금융거래와 관련한 전화나 문자 등에 대해선 보이스피싱을 우선 의심해보아야 한다. 사기범이 금융거래정보를 요구하거나 현금지급기로 유인 시에는 절대 응하지 말고 자녀납치 등의 전화에 대해선 당황하지 말고 평소 자녀의 친구 등에게 연락해 확인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