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대전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착공 예정인데
운영비 지원·운영 모델 연구 부족 등 과제 수두룩

[금강일보 김미진 기자] 우리나라 첫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이 대전에 착공될 예정인 가운데 운영비나 운영모델 등 전반적인 기틀 마련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그동안 없었던 공공의료 측면의 소아재활의료체계 구축 물꼬는 텄지만 전국 최초인 만큼 체계에 대한 이해와 준비 부족 등으로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전시는 지난 2018년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건립 사업 지자체 공모를 통해 전국 처음으로 선정돼 오는 11월 착공할 예정이다. 오는 2021년까지 70병상 규모의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을 짓고 운영은 충남대병원에 위탁할 계획이라는 게 보건복지부의 설명이다.

지난 7월 30일 중앙투자 재심사에서 조건부 승인을 받으면서 병원 건립에 훈풍이 부는 모양새지만 447억 원 정도로 예상되는 사업비를 어떻게 충당할지 등은 미지수다. 지난해 넥슨재단으로부터 100억 원의 사업비를 받았지만 여전히 운영비에 대한 지원이 절실한 상태다. 대전시 관계자는 “아직까지 정부 측에서 나온 이야기가 없어서 시 입장에서도 부담이 크다. 일단 정부 측에 요구는 계속 하고 있있다”고 말했다.

물론 운영비 지원 통로가 완전히 막힌 것은 아니다. 이번 국회예산안에 공공어린이재활병원과 비슷한 여러 재활센터에 대한 운영비 관련 안이 포함됐고 만약 해당 안이 국회를 통과할 경우 국비 지원을 받을 가능성은 높아진다. 그러나 운영비 문제 말고도 발목을 잡는 요인은 또 있다. 운영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돼야 하는데 아직까지 진전된 게 없다는 점이 그렇다.

김동석 토닥토닥 대표는 “우리나라 최초로 건립되는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이라 본받을 수 있는 국내 운영모델이 없어 빈틈없는 준비가 필요한데 현재 운영모델 연구 등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일반 재활병원처럼 단순 치료만 하는 게 아니라 어린이 대상이기 때문에 돌봄과 교육, 치료가 통합된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목표인 만큼 의견 수렴과 조례 제정 계획 등이 뒤따라야 하는데 그 절차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더욱 심도 깊은 고민과 적극성이 필요할 때”라고 촉구했다.

의료서비스의 질을 보장하기 위한 의료진 처우 개선도 관건이다. 현재 소아재활치료가 가능한 소수의 병원 대부분이 근무 상황이 매우 열악하다. 이에 따라 연차가 높고 실력있는 치료사들이 병원을 나가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렇게 되면 상대적으로 경험이 부족한 치료사들만 남게 돼 의료서비스의 질을 보장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섞인 의견이 속속 나오는 중이다.

대전 A 대형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사례가 없는 만큼 준비가 철저해야 하는 것도 사실이고 성인과 달리 장애를 가진 소아들의 재활을 위해서는 더욱 세심한 부분까지 감당할 수 있는, 경험이 풍부한 치료사들이 있어야 한다”며 “병원이 순항하려면 의료진들의 인건비 등 처우 개선이 뒤따라야 한다. 정부나 지자체 차원의 지원이 필요할 것 같다”고 훈수했다.

김미진 기자 kmj0044@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