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은 사통팔달의 교통 중심지로 그 어느 지역보다 교통이 좋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준공영제로 운영되는 시내버스 노선이 비교적 잘 갖춰져 있어 시내 대부분의 지역을 이를 통해 이동하는 데 큰 불편이 없다. 급행버스 3개 노선을 비롯해 간선버스 49개 노선, 지선버스 12개 노선, 외곽버스 30개 노선이 시내 곳곳을 운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내버스 정류장이 멀어 시내버스조차 제대로 이용할 수 없는 공공교통 소외지역도 적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대전·세종연구원에 따르면 시내버스 정류장으로부터 1㎞ 이상 떨어진 세대가 134세대나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는 것이다.

자치구별로 보면 유성구가 75세대로 가장 많다. 특히 유성구 덕진동은 41세대에 이른다. 이어 서구가 31세대, 동구 24세대, 대덕구 3세대, 중구 1세대 순이다. 이들 세대는 가장 가까운 정류장이 1㎞ 이상 떨어진 곳에 위치해 20분 정도는 걸어서 나와야 시내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더 큰 문제는 이들 오지를 연결하는 정류장의 경우 시내버스 이용이 적어 앞으로 더욱 공공교통에서 소외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실제 버스 정류장이 1㎞ 이상 떨어진 동구 마산동의 경우 원마산 정류장은 하루 승차 승객수가 최대 2.6명. 하차 승객수는 1.6명으로 조사됐다. 마산·진등날정류장은 하루 승·하차 승객수가 0.5명, 1명에 그쳤고 효평고개소공원정류장은 이보다 더 적은 0.1명, 0.3명에 불과했다.

사실상 이용승객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운송사가 노선을 늘리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해당 지역에 사는 주민 대부분이 고령인 경우가 많고 인구 유입을 기대할 수 없는 지역으로 평가돼 소멸가능성이 높은데 수익성을 따져야 하는 운송사에게 노선을 늘리고 연장하라고 요구하는 것은 무리다.

그렇다고 이들 지역을 방치한다면 오지 지역민들의 공공교통 소외현상을 더욱 심화될 우려가 있다. 더구나 이들 지역에 사는 주민들은 대부분 고령의 노인들로 자가용이 없는 경우가 많다. 농사를 짓고 살아가는 농민들의 경우 농작물을 갖고 시장에 내다 팔기 위해선 교통수단이 필요한데 공공교통마저 제대로 갖춰지지 않는다면 불편은 클 수밖에 없다.

이들 오지에 시내버스 노선을 유지하기 어렵다면 이들 주민을 위한 특별한 교통대책을 마련해야 줘야 한다. 공공형 택시 등 수요 응답형 교통수단을 늘려 불편을 해소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종교단체 버스 등을 활용한 바우처사업도 검토해볼 여지가 있다. 시내버스도 닿지 않는 대전지역 오지 노인들을 위한 공공교통대책이라는 점에서 수익성보다는 노인교통복지 차원에서 접근해봐야 할 것 같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