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형직 을지대 교목

 
주형직 을지대 교목

관계에서 말은 권력이 된다. 정권을 잡은 독재자들은 예외 없이 언론부터 통제했고, 말을 통해 대중을 압박했다. 니체는 “존재의 가장 내적인 본질이 권력에의 의지”라고 했다. 말이 제한된 시대 지식인들은 글을 통해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려고 애를 썼다. 그렇게 해서라도 독점된 권력에 편승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민주화란 말에 대한 권력이 대중에게 분배돼 있다는 뜻이다.

국민은 소통을 약속한 통치자에게 환호한다. 소통이란 상호작용이기에 일방적인 관계에서는 성립되지 않는다. 상대가 누구이건 듣고 응답하는 과정없이 소통은 불가능하다. 소통하겠다는 말에 반색하는 것은 힘없는 이들의 소리도 귀를 기울여 줄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그러나 권력의 속성은 나눔을 용납하지 않는다. 소통의 약속이 마냥 미덥지 못한 것은 그 때문이다.

대화는 상호 간 힘의 균형이 어느 정도 이뤄졌을 때나 가능하다. 그것이 어느 한쪽 방향으로 현저히 기울어져 있을 때는 대화를 나눈 것 같아도 상대는 훈계로 받아들이거나 불편한 자리로 기억될 뿐이다. 열심히 설명해도 엉뚱하게 받아들이거나 전혀 다르게 이해하는 것은 일방적인 관계에서 나눈 대화이기 때문이다. 되묻고 확인하기 어려운 관계에서 나눈 대화라면 소통은 아니다.

말이 권력이 되는 것은 일상생활에서도 쉽게 목격할 수 있다. 식당이나 카페에서 한 무리가 모여 대화 나누는 모습을 보면 말을 가장 많이 하는 사람이 윗사람이거나 밥값을 낼 사람일 가능성이 높다. 영향력이 있어야 귀를 기울여주고, 밥값이라도 내야 들어주는 것이다. 이처럼 모든 관계설정에는 말이 개입된다. 그러고 보면 말을 할 수 있을 때가 좋은 시절이고, 들어줄 수 있을 때 감사한 것이다.

사회 지도층과 전문 직업군의 공통점은 듣기보다 말하기를 필요로 한다. 이들의 생각과 지식은 그 자체로 영향력이 되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전달되는 말의 외피를 입을 때만 가능하다. 이들의 말에 많은 사람이 주목할 때 목표가 설정되고 방향이 제시되며, 문제의 해법을 찾게 되는 것이다. 말의 신뢰가 중요한 것은 이 때문이다.

그런데 이 시대 말이 필요 없는 세상이 되어가고 있다. 말하는 자들의 신뢰가 깨지면서 누구도 그들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으려 한다. 정치인이나 종교인은 말할 것도 없고, 부모나 선생의 말도 이미 영향력을 잃고 있다. 문제의 해법을 제시해야할 전문 직업군도 마찬가지다. 그동안 이들은 자신에게 부여된 책임을 방기한 채 주어진 권력만 사유화했기 때문이다. 물론 권력의 독점을 인정하고 싶지 않은 사회현상 탓도 크다.

그러나 말의 권위가 무너진 사회가 감당해야할 문제는 끔찍하다. 말은 범람하지만 말이 실종되면서 혼란과 무질서가 반복된다. 댓글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막말과 음모가 쏟아지면서 혐오와 갈등과 분열이 일상이 되고 있다. 사람들은 듣고 싶은 이야기에만 귀를 기울이고, 믿고 싶은 대로 믿으며 열광한다. 뇌피셜과 음모론이 기승을 부릴 환경이 조성되는 것이다.

이런 사회가 두려운 것은 소통이 왜곡되고 관계 맺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분노와 비판과 절망이 자연스럽게 된다. 타인에 대한 불신과 두려움이 양산되고 상대의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게 된다. 소통의 필요는 공감하지만 타협이 없고 관대나 배려, 양보를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 말에 대한 단편적이고 자기중심적인 해석은 편향과 분노를 양산하며 편 가르기가 속출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영혼을 담은 말이 그립다. 한나 아렌트는 “생각하는 힘을 잃은 것이 타락이며 사랑하는 힘을 잃은 곳이 지옥”이라고 했다. 생각 없이 쏟아낸 막말과 혐오가 부추기는 세상은 타락된 세상이며 결국 지옥일 수밖에 없다. 생각은 말을 담아내는 창고이지만 좋은 생각은 거저 주어지지 않는다.

누구에게라도 귀를 기울이고 귀담아 들어줄 때 좋은 생각이 가능해진다. 사유와 성찰이라야 불온한 시대를 끌어안을 수 있게 된다. 모든 관계에는 말이 있다. 내 안에 타인의 공간을 비워두고 붙들고 있던 한줌의 영향력을 나눌 때 말을 필요로 하게 되고 소통이 가능하게 된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