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전통시장의 활력을 높이고 청년 창업을 육성하기 위해 추진 중인 전통시장 청년몰 사업이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1000억 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했지만 청년몰 입점 점포 중 매년 휴·폐업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뭐가 문제인지 파악해 보완책을 서둘러야 한다.

중소벤처기업부가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황운하 의원(대전 중구)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7~2018년 정부와 지자체가 345억 원을 들여 지원한 청년몰 점포 459곳 중 308곳이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려 67.1%라는 높은 휴·폐업률을 기록한 것이다. 또한 2019년 기준 전국 26개 시장에서 청년몰 344곳이 영업 중이었으나 올 7월 말 현재 135곳(41.4%)이 폐업했다.

더 큰 문제는 남아있는 점포의 경영상황도 악화되고 있어 앞으로 폐업률은 더 높아질 것으로 우려된다는 점이다. 겨우 영업을 유지하고 있는 점포들의 올해 월평균 매출액은 지난해에 비해 약 20% 감소했다. 코로나19사태로 인해 영업을 하더라도 실적이 예년보다 못하다는 것이다.

전통시장 청년몰 사업은 전통시장 활성화와 청년상인 육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정부 2016년부터 추진해오고 있다. 일정 구역 내에 20개 점포를 확보할 수 있는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청년몰을 마련해 사업비 등을 지원해주고 있다. 이를 위해 올해까지 정부 예산 약 500억 원 이상이 투입됐고 자방자치단체 매칭 예산까지 더하면 1000억을 웃돈다.

사업 초기만 해도 연예인을 동원한 방송 등의 힘을 얻어 일부 청년몰의 경우 젊은이들이 몰리면서 제법 활기를 띄기도 했다. 하지만 시일이 지나면서 이마저도 시들해졌고 해가 갈수록 폐업하는 청년몰이 늘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통시장 청년몰이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는 것은 정부의 시책에 맞춰 서두르는 등 성과만 내세우려다 보니 부작용이 적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많다. 창업 후 6개월만에 폐업하는 곳이 많아 지원금만 챙기려는 이들도 나왔다. 게다가 전통시장과 융화하기 힘든 업종을 선정했는데도 전문성이 없는 청년들에게 제대로된 컨설팅을 해주지 못한 것도 원인으로 지목된다.

정부는 전통시장 청년몰 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와 분석을 통해 드러난 문제점을 보완하고 자리를 잡을 수 있는 대안을 내놔야 한다. 단순하게 지원금만 주고 해보라는 식의 소극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입지조건에 맞는 아이템 선정에서부터 전문적인 컨설팅과 눈길을 끄는 홍보 등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해 줘야 한다. 여기에 코로나 시대에 맞는 비대면 업종 개발 등을 통해 청년몰의 생존여건을 높여줄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