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선 필요성 인식하나, ‘사람 없다’ 호소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 허물고 ‘효율’ 발휘해야

[금강일보 곽진성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을 비롯한 대덕연구개발특구 기관들 중 장애인 의무고용의 법적 기준을 지키고 있지 못한 곳이 상당수며, 장애인을 고용했더라도 비연구직 혹은 비정규직 채용자가 다수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개선 움직임과 채용에 대한 고충 호소가 엇갈리고 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정필모 의원(비례)이 국가과학기술회로부터 제출받은 ‘연구회 경영협의회 안건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25개 출연연의 장애인 의무고용 이행률은 41%에 불과했다. 문제는 이조차도 대부분 비연구직이거나 비정규직이라는 점이다. 과방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의원(대전 유성구 갑)이 국가과학기술연구회에서 제공받은 ‘출연연 장애인 고용 현황’에 따르면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 25개 출연연은 지난 2015년 이후 장애인 신규 채용자 107명 중 85%에 해당하는 91명이 비정규직이었다. 또 지난 2015년 이후 장애인 신규 채용 중 연구직 비중은 약 23%에 불과한 25명이었다.

이렇다보니 일각에서는 출연연을 비롯한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장애인 의무고용 의지가 소홀한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적잖은 상황이다. 일부 연구개발특구 기관이 장애인 의무고용에 적극성을 띄는 등 개선의 움직임을 보이는 것은 다행스럽지만 법적 기준을 충족하기까지는 여전히 갈 길은 먼 상황. 특히 연구직이나 교수직 같은 전문직 채용의 경우 기준에 걸맞은 ‘사람 찾기’가 쉽지 않다는 호소가 나온다.

한 출연연 관계자는 “장애인 고용을 위한 직무를 개발하고, 채용과정에서 동점자가 되면 우대하는 등 조치를 취하고 있다”며 “그러나 연구직에 나서는 장애인이 거의 없다”고 토로했다. 대덕특구의 한 기관 관계자는 “(우리 기관은) 장애인 의무 고용 비율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하는 기관 중 하나로 평가 받고 있다. 그러나 장애인 채용에 해당되며 동시에 교수·연구원의 업무를 수행하실 수 있는 분이 드물기 때문에 목표 달성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고충을 토로했다.

일각에서는 장애인의무고용에 적극 나서 효율을 내고 있는 기관을 벤치마킹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특성상 장애인 채용이 어렵다는 편견을 깨고,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의 벽을 허물어야 한다는 당부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 좋은 사례다. 직원 채용 시 장애인 채용을 위한 제한 경쟁을 실시하고 있는 특구재단은 현재 의무고용 기준을 넘어서 120% 달성한 상황이다. 또 5명의 직원 모두 정직원, 청년인턴 모집 시 한명을 제한 경쟁으로 선발했다.

특구재단 관계자는 “직원들은 장애인 의무채용에 대해 공공기관의 책무로서 당연하게 생각하는 문화를 지니고 있다”며 “장애를 지닌 직원들도 뛰어난 업무역량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비장애인과 차이는 느끼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우수 직원 표창’을 수상한 직원들도 여러 명 있다”고 강조했다.

 

곽진성 기자 pen@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