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적으로 취약한 지역대학 존립 걱정
상위권 대학 진학 위한 반수생 증가세

[금강일보 유상영 기자] 입학 자원 감소 등으로 사상 최악의 경영난에 직면한 대학가, 특히 지방대학들의 근심이 늘고 있는 가운데 중도탈락 학생들이 학교의 애를 태우고 있다. 상위권 대학 진학을 위한 이탈이다보니 지방대학에겐 피해가 될 수밖에 없다.

중도탈락 대학생 수는 큰 변화가 없지만 규모는 상당하다. 지난해에만 전체 4년제 대학에서 5만 명이 넘는 학생들이 중도탈락했다.

벚꽃 피는 순서대로 대학들의 고심이 큰 상황에서 대전지역 대학들도 걱정이 이만저만 아니다. 자퇴 행렬로 인해 존립이 위태로울 수 있어서다.

27일 대학정보 공시사이트 대학알리미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지역 주요 대학들에서 매년 수 백명의 학생이 학교를 떠났다. 국립대라고 자유로울 수 없다. 지역 거점 국립대인 충남대의 경우 2018년 408명, 2019년 492명, 올해 470명이 학교를 떠났고 한밭대도 같은 기간 338명, 405명, 378명이 자퇴했다. 사립대들의 애로는 더 커 보인다. 대전대 422·494·427명, 목원대 421·420·417명, 배재대 404·454·428명, 우송대 263·308·304명, 한남대 421·480·536명이 중도에 학교를 관뒀다.

지역대학들은 가뜩이나 힘든 상황에서 자퇴생들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데 따른 고충을 호소한다. 학생들을 붙잡기 위해 등록금 감면, 장학금 등 각종 혜택을 쏟아내고 있지만 현재로선 뾰족한 대책이 없는 상황이다.

내년은 더 큰 문제다.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수능을 치러 대학에 입학하는 만큼 여차하면 반수생들이 더 늘어날 수 있어서다.

올해 국정감사에서 자퇴생 증가 문제를 다룬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병욱 의원(포항시남구울릉군)은 “이미 입학한 학생들이 자퇴를 하면 다시 충원할 수 있는 방법도 마땅치 않은 게 현실”이라며 “수도권 대학으로 진학하기 위해 재수나 반수를 택하고 있는 만큼, 학교 차원의 경쟁력 강화 노력이 우선돼야 하고 국가 차원에서도 재정적 지원 확대와 연구 환경 조성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대전의 한 대학 관계자는 “상위권 대학 진학을 위해 자퇴하는 것을 대학이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없지만 여러모로 답답하다”고 한숨을 쉬었다.

유상영 기자 you@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