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일 앤 리스백 방식 대신 폐점·매각
회사 결정에 일자리 잃어버린 이들, 억울함 호소

[금강일보 조길상 기자] 유통공룡이라 불리며 국내 유통시장을 장악했던 대형마트들이 하나둘 문을 닫기 시작했다. 온라인 시장의 성장, 소비 트렌드의 변화에 코로나19까지 겹치면서 다중고를 겪고 있는 대형마트의 2020년 가을 현주소를 짚어봤다. 편집자

글 싣는 순서
1. 수익급감, 이어지는 대형마트 폐점
2. 대형마트 폐점, 주변 상권 악영향
☞3. 매각으로 인한 불협화음도

수익악화에 따른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는 하지만 몇몇 점포에선 노사 간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대형마트 폐점은 통상적으로 세일 앤 리스백(sale and lease-back) 방식으로 진행된다. 세일 앤 리스백은 점포 건물을 매각한 후 재임차해 운영하는 것으로, 이마트는 지난해 2·4분기 사상 처음 적자를 낸 이후 이 방식을 통해 약 1조 원의 현금을 마련했고 롯데마트 역시 일부 점포 부지를 매각해 운영하는 상태다.

홈플러스도 재무건전성 악화가 지속되자 지난해 인천인하점, 대전문화점, 전주완산점, 울산점 등을 세일 앤 리스백 방식의 자산 유동화를 진행했다. 올해는 안산점과 대전탄방점·둔산점, 대구점 매각을 결정했다. 다만 이들 점포는 매각 후 재임대가 아닌 폐점 후 부동산 개발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노조 측과 갈등을 겪고 있다.

민노총 대전지역본부와 홈플러스 탄방·둔산 입점업주대책위 등 대전지역 24개 시민사회단체가 함께하는 ‘홈플러스 폐점 매각저지 대전공동행동’은 지난 6일 기자회견을 통해 “코로나19 등 어려운 상황에서도 대출을 받아가며 버텨 왔는데 회사가 ‘3개월 시간을 줄 테니 나가라’고 한다”며 “투기자본 MBK가 이윤 극대화를 위해 마트사업을 포기하고 부동산투기, 부동산장사로 돈을 벌겠다는 것으로 둔산점과 탄방점 폐점매각은 지역경제에 큰 타격을 줄 뿐 아니라 대량실업 사태를 양산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코로나위기 극복을 위해 노사정 모두가 힘을 모으고 있는 이 때 800여 노동자를 거리로 내모는 이번 폐점은 고용을 지켜야 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내팽개친 반노동행위”라며 “대량실업 양산하는 홈플러스 탄방·둔산점 폐점매각을 즉각 중단하라”고 강조했다.

대형마트 폐점은 고용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29일 국민연금공단 가입자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이마트와 홈플러스, 롯데마트(롯데쇼핑 마트부문)의 국민연금 가입자는 6만 785명으로 지난해 12월(6만 3063명) 대비 2278명(3.6%) 감소했다.

천안아산점과 천안점 등 8곳의 영업을 종료한 롯데마트의 국민연금 가입자는 지난해 1만 3182명에서 지난달 1만 2337명으로 845명(6.4%) 줄어 직원감소율이 가장 컸다. 홈플러스의 국민연금 가입자는 지난해(2만 2241명) 대비 1132명(5.1%) 줄었다. 갈등이 빚어지고 있는 대전탄방점·둔산점을 비롯해 안산점과 대구점은 아직 영업 중이다. <끝>

 

조길상 기자 pcop@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