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적부터 경제교육 받아 지출·저축의 균형감각 익혀야

지난 2008년 9월, IMF의 공포를 연상케 했던 미국발 금융위기가 있었다. 각 나라에서는 조심스럽게 출구전략을 이야기하지만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꺼지지 않은 불씨가 남아있다. ‘가계부채’가 그것이다. 한 나라의 경제를 설명하자면 여러 가지 변수를 고려해야 하지만 우리의 경우 가계부채규모가 중요한 변수라는 점에는 이의가 없다. 따지고 보면 그것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2003년, 온 나라를 시끄럽게 만들었던 이슈 중 하나가 신용불량자 문제였다. 특히 20~30대 신용불량 문제는 젊은 층의 왜곡된 소비풍조와 카드 회사들의 무분별한 카드 발급이 결합되면서 사회적 근심거리로 등장했다.2003년 6월, 신용불량자들의 신용회복과 부채 조정을 돕는 신용회복지원위원회는 ‘개인신용회복(워크아웃)’을 신청한 사람들의 평균 나이는 32세, 평균 3,500만원의 빚을 지고 있다고 발표했다. 신용불량자 300만 명 중 60%인 176만 여 명이 신용카드로 쓴 신용구매, 현금서비스, 카드론 등을 갚지 못해 신용불량자가 된 것이다. 그리고 당시 연체자의 절반이 20~30대로, 젊은 층이 신용불량자의 과반수나 차지했다. 왜 이런 문제들이 생겨났을까? 신용카드 회사들의 무분별한 카드 발급도 문제였지만, 더 큰 문제는 자신들의 소득보다 많은 돈을 빌려 소비를 했다는 점이다. 이런 대책 없는 소비성향은 어디에서 기인한 것일까? 그것은 어려서부터 돈 관리 요령, 소비와 저축 그리고 투자 등 올바른 금융지식을 쌓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것이 예전만의 문제일까? 한 조사기관에 의하면, ‘우리나라 직장인의 49.2%는 월급을 받은 날로부터 17일이면 월급이 바닥난다.’고 전하고 있다. 또 그 원인을 살펴보면, 대출(31%), 적은 급여(21%), 무계획적 소비(13%)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무분별한 소비, 무계획적인 돈관리로 매우 혹독한 대가를 치르고 있는 사람들을 주변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경제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해 생길 수 있는 결과치고는 너무 참혹하다. 가정생활이 파탄 나거나 사회와 단절되기도 하고 심지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선택을 하지도 않는가!문제가 이렇다면 개인의 취향이나 선택의 문제로 경제교육을 보기에는 무리가 있겠다. 한국은행을 비롯한 공적 기관에서 어린이 경제교육을 다루고 있기는 하지만 금융소비자에게 보다 가깝고 믿을만한 경제교육시스템을 갖추는 일이 시급하다. 조기 경제교육은 또한 사회생활 초창기 때에 잘못된 판단을 하지 않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비즈니스 감각을 높이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된다. 대표적인 사람이 바로 델 컴퓨터의 창업자, 마이클 델이다. 2002년 미국경제잡지 ‘포춘’지가 선정한 세계 500대 기업 가운데 36위를 차지했는데, 당시 델의 나이는 38세에 불과했다. 더욱 대단한 것은 델이 18살의 나이에 단 1000달러를 들고 사업을 시작했다는 점이다. 그의 자서전에서는 자신의 사업 감각은 주식딜러였던 어머니의 밥상머리 교육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우리 집에서는 언제나 경제에 대한 것을 생각할 수밖에 없었다. 1970년대 우리 가족들은 저녁 식탁에서 늘 FRB의장의 결정과 그것이 경제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고, 어떤 기업에 투자해야 할지, 어떤 주식을 매입하고 또 매도해야 할지에 대한 것도 자주 등장하는 화제였다.”얼마 전 한 중소도시의 부시장의 강연을 들을 기회가 있었는데, 지역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해 외국자본이나 대기업을 지역에 유치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그것이 지자체를 평가하는 중요한 잣대로 이해되고 있다는 내용이 있었다. 물론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서 일자리가 창출되어야 하고 그로 인해 소비가 진작되어야 하지만 그것이 건강하게 소비되고 합리적으로 관리되어야 균형 있게 발전할 수 있다는 점도 함께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도 체계적인 조기 경제교육은 매우 ‘경제적’이다. 투입된 재화에 비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매우 크다는 말이다. 경제 강국은 높은 생산력에서만 비롯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어린 시절부터 꾸준한 경제교육을 통해 생산과 소비, 지출과 저축의 균형 감각이 삶의 질을 풍요롭게 한다는 것을 알고 지자체와 기업의 역할을 높여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