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원 IBS 나노입자 연구단 연구위원 연구팀

박정원 나노입자 연구위원/ 허준영 IBS 나노입자 연구단 연구원
박정원 나노입자 연구위원/ 허준영 IBS 나노입자 연구단 연구원
박정원 나노입자 연구단 연구위원 연구팀이 개발한 ‘3D싱글’ 분석도.
박정원 나노입자 연구단 연구위원 연구팀이 개발한 ‘3D싱글’ 분석도.

[금강일보 박정환 기자]국내 연구진이  반도체 소자의 성능 개선, 바이러스 구조 분석을 통한 치료제 개발 등에 적용 가능한 ‘3D싱글’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2nm 미만의 극미세 입자까지도 추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향후 기술 응용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나노입자 연구단 박정원 연구위원 연구팀은 호주 모나쉬대, 미국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LBNL)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나노입자의 3차원 구조를 원자 수준에서 분석할 수 있는 알고리즘 ‘3D싱글’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기존 나노입자는 그래핀 기반 특수 용기(액체 셀)에 담겨 분석에 활용된다. 이 때문에 관찰하려는 나노입자 외에도 용기로 사용되는 그래핀과 액체까지도 함께 포착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연구진은 그래핀과 액체에서 비롯한 노이즈를 스스로 제거하고 관찰하려는 원자만 최대 1.5배 더 뚜렷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을 개선했다. 또한 용액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는 나노입자를 추적하는 효율을 개선, 기존보다 10배 가량 빠른 속도로 3차원 구조를 파악할 수 있게 됐다.

그 결과 지난 연구에서는 관찰이 어려웠던 크기 2nm 미만의 극미세 입자까지도 추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번 성과는 반도체 소자의 성능 개선, 바이러스 구조 분석을 통한 치료제 개발 등에 용이하게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박정환 기자 pjh@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