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중심 이전 목소리 힘 실려
대전시, 문화재 등록·의견 수렴 검토
서울현충원 간 해태상 반환 추진 목소리도

1952년 대전역 앞의 을유해방기념비. 6·25전쟁 때 폭격으로 대전역사가 무너진 후 임시로 지어진 역사 앞에 을유해방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좌우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해태상이 배치돼 있다. 이 사진은 6·25전쟁 때 미군으로 참전한 토마스 상사(1910∼1988)가 당시 한국의 생활상을 35㎜ 필름카메라로 찍은 사진들 중 한 장이다. 육군 제공
1952년 대전역 앞의 을유해방기념비. 6·25전쟁 때 폭격으로 대전역사가 무너진 후 임시로 지어진 역사 앞에 을유해방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좌우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해태상이 배치돼 있다. 이 사진은 6·25전쟁 때 미군으로 참전한 토마스 상사(1910∼1988)가 당시 한국의 생활상을 35㎜ 필름카메라로 찍은 사진들 중 한 장이다. 육군 제공

[금강일보 이준섭 기자] <속보>=올해 건립 75년을 맞은 을유해방기념비(乙酉解放記念碑)의 제자리 찾기 움직임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지역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이전 목소리에 힘이 실리면서 대전시가 을유해방기념비의 문화재등록과 시민 의견 수렴을 위한 물밑 작업에 나서면서다. <본보 5월 21일자 1면 등 보도>

지난 1946년 대전역 광장에 시민들이 광복 1년을 축하하며 십시일반 성금을 모아 건립한 을유해방기념비의 거취가 주목받고 있다. 오는 15일 제76주년 광복절이면 건립된 지 꼭 75년, 대전 중구 보문산으로 옮겨진 지 50년이 되는데 이를 기점으로 을유해방기념비를 이전해 역사성과 정체성을 온전히 기리자는 지역사회의 요구가 커지면서다.

특히 시가 올해 건립 75년을 맞은 을유해방기념비의 문화재등록을 포함해 보존 방향에 대한 시민, 전문가 의견을 청취하기로 하면서 이전 여론에도 힘이 실리는 모양새다. 일단 시는 현재 비등록문화재인 을유해방기념비의 문화재등록을 연내 마무리를 목표로 추진하고 이와 맞물려 공청회나 설문조사 등 시민사회 의견을 받아보겠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책임성 있게 사업을 하려면 우선 을유해방기념비를 등록문화재로 격(格)을 높이고, 이전과 관련한 여론이 계속 이어지고 있는 만큼 시민과 전문가 의견을 청취하는 등 두 가지 작업을 병행하려고 한다”며 “문화재등록은 올해 안에 마무리하는 것으로 계획 중이며 의견 수렴 절차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돼왔으나 지지부진했던 을유해방기념비의 이전 문제가 조심스럽지만 공론화 과정을 거쳐 결정될 가능성이 생기자 현장에선 다양한 제언들이 나오고 있다. 역시 가장 주목받는 부분은 이전을 한다면 어디로 가느냐다.

안여종 ㈔대전문화유산울림 대표는 “을유해방기념비는 시가 아니라 국가등록문화재로도 지정할 수 있을 만큼의 가치가 있는 문화유산”이라며 “본래의 자리였던 대전역 광장으로 이전하는 것이 좋겠지만 그것이 어렵다면 시가 시민사회와 전문가 여론 등을 종합해 후보지를 제시하고 시민들이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을유해방기념비와 한 쌍이었다가 국립서울현충원으로 간 해태상 반환을 검토해야 한다는 바람도 나온다. 지역 문화예술계 인사 A 씨는 “을유해방기념비는 대전의 역사를 비춰 온 거울”이라며 “그간 대전의 근대 건축물들이 무관심 속에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비판을 받아온 만큼 이번에는 시가 문화적 안목과 정책적 의지로 문제를 해결할 때”라며 “이전과 보문산 존치를 떠나 서울현충원에 기증된 해태상의 반환 여부를 타진, 을유해방기념비를 원형 그대로 보존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훈수했다.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