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문재인정부 그린뉴딜 정책 힙입어 촉발
공기업·대기업 앞다퉈 도입, 中企엔 위기로 작용

픽사베이
픽사베이

[금강일보 정은한 기자] 국내외에서 ‘ESG경영’이 가속화되면서 기업경영전략이 대전환을 맞이하고 있다. 공기업과 대기업을 중심으로 앞다퉈 도입되는 모양새다. 다만 중소기업엔 위기로 작용하는 측면이 있어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관련기사 3면

ESG경영은 환경(Environment)·사회적(Social)·지배구조(Governance) 등의 요소를 고려한 지속 가능한 경영·투자를 의미한다. 이는 지난 2004년 UNEP FI(유엔환경계획 금융이니셔티브) 보고서에서 처음 언급되며 알려졌다. 이후 2006년 UNEP FI와 UNGC(유엔글로벌콤팩트)가 공동으로 UN PRI(책임투자원칙)를 만들었다. 주목할 건 PRI에 가입한 금융기관이 3600여 곳에 달한다는 점이다. 즉, 기업·투자자의 투자 수익 극대화를 위해 재무적 성과만을 살피는 것은 한계가 있어 재무제표에 미반영된 비재무적 요소까지 고려해 리스크와 기회를 관리하겠다는 게 글로벌 금융계의 의도다.

국내서는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7월 한국형 뉴딜의 한 축으로 그린뉴딜 정책을 발표하면서 ESG경영이 촉발됐다. 환경에 방점에 찍힌 만큼 국내 금융기관들은 국내외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에 미참여하는 반면 신재생 에너지 부문에 투자하는 방향으로 선회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투자를 극대화하기 위해 앞다퉈 ESG경영을 도입하고 있다.

노동계는 환영한다. 과로사와 임금 양극화에 시달리는 상황에서 금융권이 비재무적 요소에 주목한다면 기업들이 환경을 개선하고 사회적 상생을 도모하며 지배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근로자의 권익 보호가 앞당겨질 수 있어서다.

충청권 지자체도 발 빠르게 대처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능형 환경성질환 리빙랩 플랫폼 구축’과 ‘미세먼지 대응전략 2.0’ 등 그린뉴딜사업을 추진하고 있고, 충북도는 한화그룹과 '충북형 도시유전'을 조성하겠다고 발표했다. ESG 평가 종합지수에서 광역지자체 1위를 차지한 세종시도 기후변화 대응 조례 제정 등 환경분야와 지역화폐 확대 발행 등 사회분야를 개선 중이다. 특히 충남도는 충남경제동향분석센터와 소통하며 공공부문 시범 운영 후 민간기업 확산을 골자로 지역 특성을 반영한 ESG경영 정책을 보완하고 있다.

충청권에선 공기업과 대기업을 중심으로 ‘ESG경영’이 가속화되고 있다. K-water·한국가스기술공사·KT&G·코레일·국가철도공단 등은 환경 개선과 사회적 공헌이 중심이며, 한국타이어·골프존·KT·SK텔레콤·아모레퍼시픽은 지역사회·중소기업과의 상생을 기점으로 움직이고 있다. 대전상공회의소도 지난해 7월 ‘ESG경영 선포식’을 개최하며 회원사와 동반 성장을 위한 ESG경영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ESG경영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다만, 충청권 중소기업계에서는 힘겨움이 호소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속에 원자잿값·물류비·인건비·자금난이라는 4중고를 겪고 있는 와중에 ESG경영에 투자할 여력이 없어서다. 지역 공기업·대기업의 ESG경영 파트너사로 체결되지 않는다면 더더욱 도입이 어렵다. 중소기업계에서 한탄이 쏟아지자 지난 5일 중소기업중앙회는 중소기업계 ‘2050탄소중립’과 ‘ESG경영’ 확산에 대응하기 위한 ‘중소기업 탄소중립·ESG위원회’를 출범시켰다. 이를 통해 지역 산업의 특성을 반영한 ESG경영이 정착되도록 공기업·대기업의 촘촘한 상생을 이끌어낼 방침이다.

정은한 기자 padeuk@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