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우리병원 관절센터 정재균 진료원장(정형외과 전문의)

대전우리병원 관절센터 정재균 진료원장(정형외과 전문의)
대전우리병원 관절센터 정재균 진료원장(정형외과 전문의)

최근 버스나 지하철에 로봇수술장비 광고가 등장하면서 공상과학의 시대가 도래하였음을 느끼고 있다. 어렸을 때 만화에서나 보던 로봇이 사람을 수술하고 치료하던 모습이 현실이 됐다. 

다빈치로봇, 사이버나이프 등 암치료 수술로봇부터 마코 스마트로보틱스 같은 인공관절수술로봇까지 다양한 로봇이 사람을 치료하는데 훌륭한 조수역할을 하고 있어 소개하려한다. 

인류가 직립보행을 하게 되며 생긴 관절염은 노년층이 되면 전인류를 괴롭히고 있는 질환중 하나이다. 정상적인 관절을 오래 사용하다보면 관절을 싸고 있는 연골의 점진적인 손상을 유발하게 되고, 연골이 닳아지게 되면 바로 아래 뼈가 노출이 되면서 마찰이 많아지게 되면서 염증과 통증을 수반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오래 걷거나 계단을 오르내려갈 때, 구부려 앉았다 일어설 때 등 통증과 부종이 발생하게 되고, 나중에 질환이 진행될수록 가만히 있을 때에도 극심한 통증과 함께 열감, 부기가 동반돼 정상 생활이 힘들고 보행도 힘들어진다. 

이러한 퇴행성관절염의 치료는 크게 비수술적인 치료방법과 수술적인 치료로 나뉘는데 관절염 초기에는 약물치료와 주사치료, 물리치료 등 비수술적인 치료법과 함께 운동 치료를 시행할 수 있으나 중기에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관절내시경 수술 등으로 연골절제 혹은 봉합 등 다양한 치료가 이뤄진다. 하지만 연골이 대부분 닳아지게 되면 복원이 불가능하게 되어 말기에는 인공관절 수술이외에는 다른 수가 없게 된다. 

이때 로봇이 등장하게 되는데 인공관절로봇이 오늘의 주인공이다. 인공관절로봇을 이용한 인공관절수술의 수술의 핵심은 얼마만큼 수술할 관절을 정상관절, 바른 다리모양으로 구현하느냐 라고 볼 수 있다. 현재 인공관절 수술은 뼈를 절삭하는 과정에서 절삭하는 만큼을 인공관절로 대체하기 위해 똑같은 사이즈를 측정해서 절삭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사람 눈으로 1mm 이하의 오차를 확인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지만 사람 키가 2m가 넘지 않기에 1mm 정도, 1도 정도의 차이는 생각보다 크지 않고, 수술 후에도 의사며 환자며 그 차이를 느끼기는 어려워 결과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하지만 의료기술이 발달 되면서 이러한 오차도 로봇이 집도의를 도와주면서 더 정밀하게 보정할 수 있게 되는데, 로봇의 컴퓨터가 CT, MRI와 같은 환자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환자의 골격을 3D 입체로 구현하게 되고, 의사가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환자의 근육, 인대 등의 상태를 살펴 환자 각자에게 가장 부합한 다리를 재건하게 된다. 

여러 회사에서 인공관절로봇이 출시되었으나 미국 스트라이커社에서 마코 스마트로보틱스라는 인공관절 로봇이 현존하는 가장 안전하고 진일보한 형태인 인공관절로봇 으로 꼽힌다. 무릎 관절 전치환술과 부분 치환술, 고관절전치환술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국안전처 (FDA) 으로부터 동시 승인을 받아 다른 인공관절 수술 로봇보다 환자에 대해 압도적인 안정성을 확보했다. 

의사가 직접 수술하는 인공관절수술과 로봇의 도움을 받아 수술하는 방법의 차이점을 보면 인공관절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역학적 축, 즉 다리의 정렬을 일렬로 반듯하게 만드는 것이다. 하지만 수술을 하는 의사입장에서는 눈으로 보면서 1도, 1mm 내외의 값의 차이를 확인하기는 사실상 어렵다. 물론 1~2도 각도나 1~2mm 정도의 차이는 수술을 받은 환자들이 느끼기 어렵다. 하지만 이 미묘한 차이를 완벽하게 잡게 될 경우 무릎 안쪽을 둘러싸고 있는 인대들의 부담도 다들 똑같이 줄어들게 되고 그렇게 되면 보행 및 운동 등을 할 때에도 다리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어 인공관절 후 발생하는 이물감 또는 불편감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정확하게 환자의 무릎상태를 확인 할 수 있어 절개부위를 줄일 수 있어 출혈량도 감소하게 되고 통증도 줄어들다 보니 회복 속도도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어 특히 고령의 환자 분들에게 도움이 많이 된다.  
 
소중한 나의 관절을 오래오래 사용하려면 꾸준한 근력 관리, 운동이 가장 중요하다. 관절을 싸고 있는 근육, 인대가 꾸준하고 적절한 운동으로 잘 받쳐 준다면 연골에 걸리는 부담이 줄어들게 퇴행성 변화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잘못된 사용이나 습관은 오히려 관절을 상하게 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구부려 앉거나 바닥에 쭈그려 앉아서 일하는 자세가 길어지면 관절을 풀어주는 시간을 중간 중간 가지는 것이 필요하며, 계단을 오르내리는 운동 역시 무릎에 걸리는 하중이 증가 되어 퇴행성관절염의 진행을 가속화 시킬 수 있어 뼈가 약해지는 시기에는 특히 조심하며 운동해야 한다. 
 

그리고 통증이 발생하였을 경우 관절안쪽에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 병소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니 가능하면 빨리 근처 정형외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관절의 상태를 꾸준히 체크 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관절건강에 도움이 된다. 

도움말=대전우리병원 관절센터 정재균 진료원장(정형외과 전문의)

정리=김미진 기자 kmj0044@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