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도 원자잿값 부담 큰데 우린 오죽하겠나”
기준금리 변동성 쓰나미까지 덮치면 도산위기↑

사진=연합
사진=연합

[금강일보 정은한 기자] 올해 누계 수출액이 최고치를 달성했음에도 국내 무역수지가 2달 연속 적자로 집계됐다. 원자잿값 인상 부담이 커진 만큼 납품단가에 상승분을 반영받지 못한 지역 중소기업의 수익성 악화가 심화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지난해 동월 대비 12.6% 증가한 576억 9000만 달러, 수입은 18.6% 늘어난 603억 5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로써 무역수지는 26억 6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해 지난 3월 1억 1500만 달러 적자에 이어 2개월째 마이너스를 보였다. 문제는 올해 4월까지 누계 수출액이 사상 처음으로 2000억 달러를 돌파했음에도 무역적자에 시달리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원자잿값 상승을 유도하는 원유·가스 등 주요 에너지 비용이 고공행진해서다. 국내 의존도 약 80%가량을 차지하는 중동산 두바이유는 배럴당 103.86달러, 액화천연가스(LPG)는 톤당 평균 95달러 안팎을 오르내리고 있다.

대전 중소기업계 관계자는 “에너지 비용과 함께 각종 원자재 공급난에 따라 끊임없는 원자잿값 상승 피해를 보고 있음에도 대통령 인수위는 공약대로 납품단가 연동제 시행을 무산시키고 있다”며 “시장 경쟁을 침해할 우려가 있다는 판단은 정말 잘못된 것이다. 납동단가 연동제 없이는 무역수지 적자를 중소기업이 흡수할 수밖에 없다”고 강력히 우려했다.

현재 충청권 중소기업은 러시아의 우크라의 침공과 중국의 상해 도시봉쇄로 수출은 물론 수입난이라는 이중고를 받고 있다. 또 인도네시아 정부가 오는 28일부터 자국의 수급 불안에 대응해 팜유 수출을 금지하는 탓에 식품업계 소상공인도 공급난과 함께 식자재값 인상 피해가 커질 전망이다. 즉, 대기업의 상생에 의존하는 ‘납품단가 조정협의제’로는 피해를 보전하지 못한다는 것이 지역 중소기업계의 토로다.

더불어 기준금리 줄인상 쓰나미까지 덮치고 있다. 미국 기준금리는 지난 3월부로 0.50%에 돌입한 이래 급격한 재인상을 예고한 데다가 한국은행도 지난 4월 1.50% 인상에 이어 올 연말 2%대까지 오를 예정이라서다.

충남의 한 중소기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장기화로 매출 피해가 가중되면서 기업대출을 늘린 실정인데 원자잿값과 물류비 인상으로 수입액 부담이 커져 또 대출을 하자니 걱정이다”라며 “정부가 매출 만기연장 및 이자상환 유예를 9월까지 해줬으나 그것만으로는 도산 위기를 견뎌내기 어렵다. 대대적인 지원대책이 절실하다”고 요청했다.

정은한 기자 padeuk@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