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용 니켈 전구체 유치, 타 지역 활발한데
지역 제조업 이해 부족 맞물려 산업육성 지지부진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중국 상하이 등 주요 도시 봉쇄와 우크라이나 사태로 원부자재 글로벌 공급난이 지속되면서 국내 국산화 추진이 강화되고 있다. 다만 타 지역과 달리 대전지역의 움직임은 뒤처진 실정이다.

최근 국제무역통상연구원 발표한 ‘핵심 원자재의 글로벌 공급망 분석 : 니켈’ 보고서에 따르면 니켈의 공급 부족이 심화되고 있다. 니켈은 전기차용 삼원계 배터리의 핵심 원료라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니켈의 생산 1위국은 인도네시아다. 중국의 대규모 투자가 맞물린 결과다. 또 일본은 2000년대부터 필리핀 광산 개발을 추진해 자국으로 니켈을 들여오고 있다.

반면 한국은 니켈 원광을 전량 수입에 의존하며, 최근 수요가 늘고 있는 배터리용 니켈의 경우 니켈 기반 삼원계 배터리의 원료가 되는 전구체의 79%를 수입하고 있다. 중국 의존도만 90% 이상이다.

이에 고려아연은 울산에, 포스코케미칼은 전남 광양에 생산 라인을 착공하기로 했고, LG화학은 켐코와 전구체 생산을 위한 합작법인을 설립하기로 했다. 대전 제조업계 관계자는 “현재 산업 규모가 적은 대전은 산업지도가 정확히 파악되지 않아 원부자재 공급난을 해결하는 것조차 어려운 실정이다”라며 “반면 타 지역은 위기를 기회로 삼아 국산화 전초기지로 도약하려는 선제적 시도를 하고 있다. 이는 지자체가 주도해줘야 하는 사안이라서 아쉽기만 하다”고 비판했다.

이 같은 뒤처진 대응은 요소수 사태 때도 드러났다. 지난해 연말 대전은 요소수 거점주유소가 단 곳도 지정되지 않아 품귀 사태 해결에만 집중하는 처지였다. 반면 충남도는 논산·천안·예산 등에 포진한 기존 업체들의 생산을 늘리는 동시에 요소수 생산업체 추가 가동을 모색했다. 한국종합화학이 있는 충북 청주시도 마찬가지였다.

대전 화학업체 대표는 “우리 지역은 기존업체에 대한 이해도가 별로 없고 기업도시로 나아가려는 의지도 부족해왔다”며 “글로벌 공급난으로 원부자재 국산화 움직이는 거세지는 만큼 유통 해결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기술력 있는 업체들을 키워내려는 노력이 동시에 진행돼야 한다. 정부 주도의 거국적 산업 유치에만 기대하는 시 정책이 아쉽다”고 평가했다.

일각에서는 대전을 소비도시로만 인지하는 관성이 발목을 잡고 있다고 보고 있다. 중국의 사드 보복, 일본 수출규제, 코로나19발 원부자재난 등 끊임없이 대외 변수가 들이닥치고 있음에도 어디서 어떤 원부자재를 구매해 중간재를 생산하고 있고 어떤 품목이 부족한지 상세한 산업지도조차 없는 것이 대전의 현주소라는 것이다.

정은한 기자 padeuk@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