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방비에 이어 대중교통 요금, 상·하수도 요금도
고금리·고물가에 지갑사정 여의치 않아

▲ 고물가·고금리 상황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난방비 폭탄’을 맞은 서민들의 아우성이 커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지난달 평소 대비 3배나 많은 ‘난방비 폭탄’을 맞은 직장인 A 씨는 한 푼이라도 아끼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시도 중이다. A 씨는 “지난해와 비교해도 12월 난방비가 너무 많이 나왔다. ‘이게 맞는 금액인가’라는 생각에 고지서를 몇 번을 다시 들여다봤다”면서 “이제 막 겨울이 시작됐는데 너무나도 크게 오른 난방비에 정보를 찾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A 씨가 선택한 건 난방 텐트다. 방 대신 거실로 생활 공간을 옮기고 난방 텐트를 설치해 이번 겨울을 날 생각이다.

고물가·고금리 상황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난방비 폭탄’을 맞은 서민들의 아우성이 커진다. 날이 풀리려면 아직도 시간이 필요한데 빚 갚고 이자 내고 밥 한 끼 먹으면 남는 게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대중교통 요금과 상·하수도 요금 등의 공공요금 인상 전망도 나오면서 ‘지갑이 한파’라는 푸념이 나온다.

지난해 12월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실시한 ‘2023년 국민 소비지출 계획’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6.2%는 올해 소비지출을 축소할 것이라 답했다. 물가 상승(43.9%)과 실직·소득 감소 우려(13.5%), 세금·공과금 부담(10.4%), 채무 상환 부담(10.3%) 등의 걱정이 많았기 때문이다.

당시 상황상 허리띠를 졸라매는 게 어찌 보면 당연했던 상황이었으나 문제는 ‘마른 오징어도 짜면 물이 나온다’라는 영화·드라마 속 악당들의 대사가 떠오를 만큼 강하다는 점이다.

고용노동부의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근로자 월별 실질임금은 지난해 4월부터 11월까지 8개월째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월급이 올랐지만 물가상승률이 그보다 더 가파른 상승세를 보여줬기 때문이다.
더 큰 문제는 대중교통 요금과 상·하수도 등의 다른 공공요금 인상이 점쳐진다는 거다.

전국 17개 시도 대부분이 올해 버스·지하철·택시 등 대중교통 요금 인상을 이미 결정했거나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대전도 그중 하나인데 대전시는 지난해 11월 ‘택시운송원가 산출 및 요금체계 조정 용역’을 마무리하고 관련 심의를 추진하는 등 인상에 무게를 두고 있다.

상·하수도 요금도 인상 관련 조례 입법예고를 마치고 대전시의회 심의를 앞두고 있다. 2017년 이후 5년째 동결 중인 대전지역 상수도 요금은 2021년 ‘상수도요금 현실화 검토 용역’을 마무리했지만 코로나19 사태, 경기 침체 등으로 인상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다. 하수도 요금 역시 지난해 7월 관련 용역을 완료하고 시의회의 최종 승인 절차만을 남겨둔 상황이다.

조길상 기자 pcop@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