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요원’ 신상정보 유출됐다... 정보사 군무원 구속
국군정보사령부 소속 군무원이 군 정보요원의 신상정보를 포함한 국가기밀을 유출했다고 알려졌다.
지난달 30일 국방부에 따르면 중앙군사법원이 이날 군 정보요원의 신상정보 등 군사기밀을 유출한 혐의로 국군정보사령부(이하 정보사) 소속 군무원 A씨에 대해 구속영장을 발부했다고 밝혔다.
A씨는 정보사 해외 공작 부서 소속으로, 신분을 위장하고 첩보 활동을 하는 정보사 ‘블랙 요원’의 신상 및 개인 정보가 포함된 다수의 기밀을 중국 동포(조선족)에게 유출한 혐의를 받고 있다.
군 수사당국은 유출된 기밀이 북한으로 향한 정황도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A씨에게서 기밀을 넘겨받은 조선족이 북한 정찰총국의 정보원일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정보사는 지난 6월에 군사기밀이 유출된 사실을 포착했고, 이후 국군방첩사령부(이하 방첩사)가 수사에 나서 북한 관련 첩보 업무에 종사하는 요원의 개인정보 등이 유출된 것을 확인했다.
기밀이 유출된 경로에 대해서는 정보사 내부 컴퓨터의 보안자료가 A씨의 개인 노트북으로 옮겨졌고, 해당 자료가 다시 외부로 유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군무원 A씨는 자신의 노트북이 해킹됐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 당국은 A씨의 주장과 해킹되는 것을 의도적으로 방치했을 가능성 등 모든 상황을 염두에 두고 수사를 진행 중이다.
군 관계자는 “사실상 정보사 첩보요원의 신상 정보가 전부 유출된 것으로 보고 있는데, 이것은 군무원이 혼자 벌일 수 있는 일이 아니다”라며 “내부에서는 조력자가 있거나 함께 도모한 사람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정보 유출로 인해 중국 등 외국에 파견됐던 일부 블랙요원이 급히 귀국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 소식통은 “블랙요원 1명을 양성하는 데 최소 5년 이상 소요된다”며 “길게는 십 수년간 구축한 해외 군 정보망이 한번 무너지면 복구하기가 매우 힘들다”고 전했다.
한편, 매일경제에 따르면 기밀이 유출된 사실은 국내 정보기관 해커가 북한 정보기관 네트워크를 해킹하는 과정에서 파악된 것으로 확인됐다. 정보사는 다른 정보기관의 해커에 의해 발견돼 방첩사가 수사를 개시하기 전까지 명단 유출 정황을 전혀 모르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