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권자의 힘이 곧 권력이다
무관심, 잘못된 후보 선출
2010-05-11 서이석 기자
유권자의 치열한 선거 참여의식이 없다면 풀뿌리 민주주의가 정착될 날은 요원할 수밖에 없다. 새로운 지방일꾼을 뽑는 6·2지방선거 투표일이 목전으로 다가왔지만 유권자들은 누가 출마하는지 관심조차 두지 않으려고 한다. 이번 선거가 광역·기초단체장과 교육감, 지방의원 등 출마후보군들이 수를 헤아리기 어려울 만큼 방대하고, 각 후보들의 개별 공약을 꼼꼼히 따져보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그러나 선거 무관심은 잘못된 후보가 선출될 여지를 남기고 왜곡된 민의로 드러나 결국 유권자의 피해와 성숙치 못한 지방자치로 귀결된다.유권자의 정치적 냉소는 풀뿌리 민주주의의 위기를 절감하게 한다.각 정당과 후보들은 또 다시 공천시비, 상대방 흠집내기, 각종 유언비어 유포 및 흑색선전 행태가 기승을 부리는 등 구태를 벗어나지 못하는 것에 대해 뼈를 깎는 자성과 성찰을 해야 한다.지방자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정당 정치도 설자리가 없다. 민의가 수반되지 않은 정치는 불신받고 고립된다.유권자의 외면하에 선출된 단체장과 지방의원들 역시 주민 대표성을 갖기 어렵다는 것을 모두가 각인해야 한다.선거 참여는 유권자의 가장 강력한 권리이자 의무이다.준비없이 바람과 지역정서에만 기대해 출마한 후보들을 표로 심판하고, 주민들을 대표해 지방자치를 이끌 참신한 일꾼을 뽑는 것도 투표를 행사해야 가능하다.향후 4년간 시민 혈세만 축내고 거드름을 피우고 주민살림은 게을리 하는 정치 한량들을 걸러내느냐는 유권자의 관심 여하에 달려있다.유권자의 올바른 주인의식은 불량 후보들을 부끄럽게 만든다.지역사회에 실현 불가능한 공약을 남발하면 응징해야 하며, 음성적으로 흑색선전과 비방을 하면 얼굴을 들지 못하게 하는 정치 풍토는 유권자가 참여할 때 가능하다.공천을 받기 위해 이당 저당 기웃거리는 정치 풍토는 이제 걸러내야 한다.지역감정과 편가르기는 어느 지역이나 있기 마련이다.어찌보면 자기 지역에 대한 자연스러운 응집력이라고도 할 수 있지만 이것이 선거판에서 표를 동원하는 수단으로 악용될 경우 지역 내 갈등을 야기하고 설득력도 없어진다.금홍섭 대전유권자희망연대 공동위원장은 “유권자의 적극적 관심만이 위기의 지방자치를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