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에 쏠린 눈’ 與野 여론전 최고조

野, 정치검찰정권 규탄 역량 집중 與, 사법부 향해 엄정한 판결 촉구 법원, 선고공판 생중계 요구 불허

2024-11-13     유상영 기자
사진=한국경제

여야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에 대한 2건의 1심 선고를 앞두고 총력 대응에 나선 모습이다. 국민의힘은 계파간 갈등을 잠시 접고 이 대표를 향한 공세에 힘을 모으고 있다.

국민의힘은 윤석열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를 기점으로 여권 내부 비판 대신 대야 공세에 집중하고 있다. 11월은 이 대표의 1심 선고 두 건과 김건희 여사 특검법 수정안 표결, 특별감찰관 추진까지 잇따라 예정돼 있는 시점이다. 여당은 앞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의원들과 긴급 대책 회의를 열고 사법부에 엄정한 판결을 촉구했다. 진종오 최고위원에 이어 서범수 사무총장까지 당 지도부가 이 대표 선고 공판 생중계를 요구하는 릴레이 1인 시위에 참여하기도 했다.

한동훈 대표도 담화 이후 윤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를 향한 공개 비판을 멈추고, 민주당의 정권 규탄 장외집회를 향한 비판 수위를 끌어올리고 있다. 한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정치가 민생은 못 챙겨도 민폐는 끼치지 말아야 한다”며 “하고 싶은 말(판사겁박) 다 알겠고, 민주당 기대와 달리 인원 동원 잘 안되는 것 국민들께서도 다 아신다”고 했다.

민주당은 대대적인 여론전에 총력을 집중하고 있다. 지난 5일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를 전담 대응하는 기구인 사법정의특별위원회(위원장 전현희)를 출범시켜 검찰이 이 대표에 대한 정치 수사를 했다는 주장을 강화하고 있다. 또 강성 친명(친이재명)계가 모인 더민주전국혁신회의는 이날 103만 명이 참여한 이 대표 무죄 판결 촉구 탄원서를 서울중앙지법에 전달했다. 이 대표가 창립 멤버인 전국자치분권민주지도자회의(KDLC)도 지난 11일 "이재명 대표는 무죄다. 정치검찰의 교활하고 무자비한 탄압을 막아달라"고 재판부에 촉구했다.

여야 모두 이 대표에 대한 2건의 1심 선고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건 결과에 따라 여야의 체제 자체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대표가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벌금 100만 원 이상의 형을 받고 확정되면 의원직을 상실하고 다음 대선 출마 기회도 박탈당한다. 야권 연대의 폭이 넓어질 수 있지만 그만큼 일대 혼란도 불가피하다. 반대로 의원직 상실에 해당하는 형이 내려지지 않을 경우 이 대표를 중심으로 한 정권 재창출에 한층 더 탄력을 받게 될 전망이다.

한편 법원은 여당이 요구한 이 대표 선고공판 생중계를 불허했다. 법원은 “관련되는 법익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밝혔다.

유상영 기자 you@gg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