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부터 일반병동 환자 안전 지키는 병원 늘어난다
신속대응시스템 3단계 시범사업 참여기관 55개소로 확대
보건복지부는 1일부터 심폐정지, 다발성 장기부전 등 일반병동 입원환자의 예기치 못한 상태 악화를 사전에 방지하는 ‘신속대응시스템 3단계 시범사업’을 시행한다.
이 시스템은 일반병동 입원환자 중 위험 징후를 보이는 환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신속대응팀이 즉각 개입해 환자의 상태 악화를 예방하는 환자 안전 관리체계다. 신속대응시스템에 참여하는 기관은 환자의 위험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의사, 간호사 등 인력을 배치하고 장비를 갖춰야 한다. 대전에서는 충남대병원, 세종에서는 세종충남대병원, 충남에서는 단국대병원과 순천향대 천안병원이 참여한다.
시범사업에서는 의료현장의 실제 운영 여건을 고려해 의료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도 환자 안전이 유지될 수 있도록 인력 운영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의료 장비 구성을 현실화하는 등 제도 개선을 추진했다. 이 같은 의료자원운영 효율화에 따라 시범사업 참여기관이 기존 45곳(상급종합병원 32곳, 종합병원 13곳)에서 55곳(상급종합병원 38곳, 종합병원 17곳)으로 확대됐다. 다만, 새롭게 확대된 10개 기관 중 8개 기관은 현재 일부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으나 향후 6개월 내 모든 요건을 충족해야 최종 승인이 확정된다. 시범사업 참여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은 본인이 희망하는 경우 고위험 상태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받을 수 있으며 위험 징후 발견 시 신속대응팀 또는 병동 의료진에 의해 즉시 초기 조치를 받게 된다. 보건복지부는 2027년 12월 3단계 시범사업이 완료되면 그간의 성과평가를 바탕으로 본사업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박동규 기자 admin@gg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