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구 여제 김연경, 극적인 우승으로 화려한 은퇴식 장식
극적인 피날레였다. 20년 넘게 한국 여자 배구를 이끌었던 여제 김연경(37·흥국생명)이 우승 트로피와 함께 뜻깊은 은퇴식을 가졌다.
지난 8일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에서 열린 프로 배구 V리그 여자부 챔피언 결정전 최종 5차전에서 김연경이 이끄는 정규 리그 1위 흥국생명이 정관장을 세트 점수 3-2(26-24 26-24 24-26 23-25 15-13)로 꺾고 정상에 올랐다.
흥국생명은 5전 3선승제 시리즈에서 1·2차전을 내리 이기며 유리한 고지를 점했지만, 원정 3·4차전을 내주며 위기를 맞았다. 하지만 홈에서 열린 5차전에서 김연경이 34득점을 몰아치며 마침내 우승을 거머쥐었다. 흥국생명은 지난 2018-2019 시즌 이후 6년 만에 챔피언 결정전에서 승리하며 여자 배구 최초로 5회 우승을 달성했다. 김연경은 해외 진출 전이던 2008-2009 시즌 이후 16년 만에 V리그 트로피를 다시 들어 올렸다. 챔피언 결정전 5경기에서 133득점을 올리며 시리즈 MVP에 선정됐고, 기자단 투표에서 역대 두 번째 만장일치(31표)를 기록했다.
정관장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다. 1·2세트를 연달아 내주며 패색이 짙었지만 3·4세트를 따내며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 5세트에서도 마지막까지 치열한 접전을 벌였다. 이번 챔피언 결정전은 5경기 중 4경기가 풀세트 접전으로 펼쳐졌고, 마지막 5차전은 모든 세트가 2점 차로 갈릴 만큼 박빙이었다.
이날 김연경은 우승 후 헹가래를 받으며 21년간의 프로 생활을 마무리했다. 지난 2005년 V리그 신인 드래프트 전체 1순위로 흥국생명에 입단한 그는 마지막 순간까지 한국 배구를 대표하는 세계적 아이콘으로 활약했다. 해외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도 한국 리그 9시즌 만에 정규 리그 통산 득점 9위(5314점)에 올랐고, 포스트시즌까지 포함하면 역대 4위(6359점)를 기록했다. 포스트시즌에서만 1045점을 쌓아 역대 유일하게 1000점 이상을 기록한 선수로 남았다. V리그에서 정규 리그 4회, 챔피언 결정전 4회 우승을 이뤘고, 일본 리그 2회, 튀르키예 리그 2회, 중국 리그 1회 우승까지 차지했다. 특히 튀르키예 페네르바체 시절이던 2012년엔 유럽 챔피언스리그 트로피도 들어 올렸다.
그는 17년간 국가대표로 활약하며 한국 여자 배구의 중흥기를 이끌었다. 지난 2005년부터 2021년까지 국가대표로 뛰며 271경기에서 4981점을 기록했다. 올림픽에도 세 차례 출전(2012·2016·2020)해 2012 런던과 2020 도쿄 대회에서 두 차례나 한국을 4강에 올려놨고, 2014 인천 아시안게임에서는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도쿄 올림픽을 끝으로 국가대표 생활을 마쳤다.
김연경은 키 192cm의 장신에서 나오는 강한 공격력에 수비력까지 겸비해 세계 최고 수준의 선수로 평가받았다. 고등학교 입학 전까지는 키가 작아 세터나 리베로로 뛰었던 덕분이었다. 고교 시절 이미 ‘완성형 선수’였던 그를 지명하려고 흥국생명과 GS칼텍스가 일부러 꼴찌를 하려는 촌극까지 벌어졌을 정도였다.
데뷔 시즌부터 김연경은 신인왕, 정규 리그 MVP, 챔피언 결정전 MVP까지 휩쓸며 ‘배구 여제’의 탄생을 알렸다. 남녀 통틀어 한국 프로 배구 최초 해외 진출 선수였고, V리그 역대 최다 정규 리그 MVP(6회)와 최다 챔피언 결정전 MVP(4회)의 기록도 갖고 있다.
오는 14일 예정된 V리그 시상식에서도 MVP 수상이 유력해 보인다. 정규 리그 MVP를 7회로 늘릴 가능성이 있다. 현역 마지막 시즌까지 정규 시즌에서 국내 선수 중 최다 585득점으로 전체 7위에 오르며 녹슬지 않은 기량을 과시했다. 공격 성공률(46.03%, 전체 2위)과 후위 공격 성공률(43.97%, 전체 3위) 등 주요 공격 지표에서도 국내 선수 최고 기록을 남겼다.
이날 김연경의 마지막 경기를 보기 위해 6082명의 팬들이 경기장을 가득 메웠다. 관중석에는 ‘함께해서 행복했어’, ‘영원히 김연경’ 같은 응원 문구가 곳곳에 눈에 띄었다. 김연경이 우승 후 동료들과 뜨겁게 포옹한 뒤 관중석을 향해 인사하자, 그의 이름을 외치는 소리가 체육관을 울렸다. 김연경은 “꿈인지 생시인지 실감이 안 난다. 좋은 모습으로 많은 분 앞에서 마무리할 수 있어서 기쁘다. 이보다 행복한 은퇴가 어디 있겠느냐”며 “정관장 선수들도 좋은 배구 보여줘서 감사하다”고 했다. 이어 “많이 응원해 주셔서 힘내서 우승할 수 있었다”며 “나는 이제 떠나지만 후배들이 있기 때문에 계속 흥국생명 팀과 배구에 관심 가져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