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지는 청년층 비혼출산 긍정적 인식
20~30대 비혼 출산 동의율 남녀 모두 40% 넘겨 2008년과 비교해 15년 간 10%p 상승
청년층의 비혼출산 인식이 긍정적으로 확산하는 모양새다. 2008년 비혼 출산 동의율이 15년여 사이에 4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19일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의뢰로 수행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20대 남성의 경우 비혼 출산 동의율은 2008년 32.4%에서 지난해 43.1%로 올랐으며 같은 기간 20대 여성도 28.4%에서 42.4%로 상승했다. 20∼30대 10명 중 4명은 비혼출산에 대해 동의했으며 상승폭도 10%포인트 이상을 기록하는 등 비혼출산에 대한 인식이 개선됐다는 의미다.
20대의 비혼 출산 동의율 상승 폭은 여성(14%p)이 남성(10.7%p)보다 더 컸다. 30대의 경우 남성의 비혼 출산 동의율이 2008년 28.7%에서 지난해 43.3%로 올랐고, 여성도 같은 기간 23.9%에서 40.7%로 상승했다. 30대도 여성의 비혼 출산 동의율 상승 폭(16.8%p)이 남성(14.6%p)보다 큰 것으로 집계됐다.
청년층 남녀의 비혼 동거 동의율도 상승세를 보였다. 20대 남성은 2008년 67.2%만 비혼 동거에 찬성한 것으로 조사됐지만 지난해에는 81.1%가 가능하다고 답했다. 20대 여성도 55.6%에서 81%로 올랐다. 30대는 남성이 58%에서 82.2%로, 여성은 50.1%에서 78.3%로 상승하는 등 남녀 모두 비혼 동거 동의율 상승 폭이 두드러졌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비혼 동거나 비혼 출산 동의율 자체는 아직 남성이 여성보다, 20대가 30대보다 높지만, 그 차이는 모두 감소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한편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22년 기준 OECD 평균은 41%로 나타났다. 같은 해 한국의 비혼 출산율은 3.9%였으며 이듬해 4.7%로 소폭 상승했다.
이재영 기자 now@gg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