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학회, SMR특별법 지지 ‘맞불’

“SMR, 기후위기 극복과 AI 시대의 열쇠” 환경단체 주장 반박하며 국회 결단 촉구

2025-07-10     이기준 기자
사진 = ㈔한국원자력학회

<속보>=소형모듈원자로(SMR)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원자력 단체가 환경단체의 반발 주장을 반박하면서 SMR 특별법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본보 6월 16일자 6면 등 보도>

㈔한국원자력학회는 10일 “SMR 특별법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선택”이라며 조속한 법 제정을 촉구했다. 해당 법안은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의원이 발의한 것으로 황 의원은 “AI(인공지능) 각축전, 기후위기와 에너지 안보, 산업구조 재편 등 변화의 물결 속에서 SMR은 안전과 혁신 두 가지 가치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차세대 에너지원이다”라고 강조했다.

한국원자력학회도 보조를 맞췄다. 이들은 우선 “24시간 중단 없는 안정적 전력 공급이 요구되는 AI 데이터센터의 경우 간헐성이 큰 재생에너지 전기만으로는 감당할 수 없다. 구글 등 글로벌 IT 기업들이 이미 원자력을 통한 전기 구매에 나서고 있는 것이 이를 증명한다”고 강조하면서 재생에너지 100%를 의미하는 RE100의 한계를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진정한 탄소중립은 24시간 무탄소 전기를 공급하는 ‘CF100(Carbon-Free 100%)’을 통해서만 가능하며 이를 위해선 안정적 무탄소 기저 전원인 원자력을 활용한 전기 생산이 꼭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이어 안전성과 관련해 “SMR은 주요 기기를 하나의 용기에 통합하고 대형배관을 제거해 중대사고 발생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외부 전원 없이 자연력으로 냉각되는 피동형 안전계통을 적용해 노심손상확률이 기존 대형원전의 1만 분의 1 수준인 10억 년에 1회에 불과하다”고 했고 경제성과 관련해선 “미국 SMR 개발사의 특정 사업 차질을 기술 전체의 실패로 호도하고 있지만 이는 초기 개발 단계에서의 일시적 현상에 불과하다”라고 주장했다. 사용후핵연료와 관련해선 “SMR이 단위 에너지당 발생하는 사용후핵연료는 현재 기술 기준으로 대형원전 대비 소폭 증가하지만 이는 향후 핵연료 기술 개발을 통해 충분히 저감할 수 있다. 또 이미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돼 국가 차원의 관리 체계가 작동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일부 단체의 비합리적이고 왜곡된 주장에 의한 소모적 논쟁을 끝내고 기후위기 극복과 AI 시대에 안정적 전력 공급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SMR 특별법의 조속한 제정이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기준 기자 lkj@gg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