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율 급증... 이유는?
윤석열 정부가 청년 자산 형성을 위해 도입한 ‘청년도약계좌’의 중도해지율이 최근 급격히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 인원은 35만8000명으로 누적 개설 인원 225만명의 15.9%에 달했다. 불과 2023년 말 8.2%였던 해지율이 1년 만에 거의 두 배로 오른 셈이다.
2025년 7월말 기준 가입자 중 월 납입 금액별 규모를 살펴보면, 70만 원 가입자가 86만1000명(43.7%)으로 가장 많았고, 10만 원 미만 20만6000명(10.5%), 50만 원대 20만1000명(10.2%) 순이었다(일시 납입자 27만9000명 제외).
특히 소액 납입 청년층의 해지율이 높았다. 월 10만원 미만을 넣은 가입자의 중도해지율은 39.4%에 달했으며, 10만∼20만원 미만 가입자는 20.4%, 20만∼30만원 미만은 13.9%로 집계됐다. 반면 최대 납입액인 70만원을 꾸준히 넣은 가입자의 해지율은 0.9%에 불과했다.
전문가들은 청년층의 불안정한 소득 구조와 높은 생활비 부담이 원인이라고 분석한다. "연 9%대 금리 혜택에도 불구하고 장기 납입을 이어가기 어렵다"는 것이다. 취업, 결혼 등 인생 이벤트가 많은 시기에 5년 만기라는 제도 설계도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올해 말 청년도약계좌의 세제 혜택을 종료하고,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이었던 '청년미래적금'을 새로 선보일 예정이다. 이 대통령은 선거 당시 일정 소득 이하 청년층이 1∼3년 일정한도에서 적금을 납입할 경우 만기 시점에 정부가 25%가량을 매칭하는 형태의 상품 신설을 약속한 바 있다.
금융위는 청년도약계좌 가입자가 청년미래적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청년희망적금'(문재인 정부 청년 상품) 만기 수령자들이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탈 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던 사례가 있다"며 "청년도약계좌에서 청년미래적금으로 이동은 예산 등을 고려해 부처 간 협의를 통해 결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민국 의원은 "문재인 정부에서 출시한 '청년희망적금' 만기 시 해지율인 29.6%와 비교한다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기는 하지만 증가 추세라는 점에서 청년들의 안정적 자산형성 지속적으로 지원을 위해 금융 당국의 가입유지 유인을 위한 제고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한 시기"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청년도약계좌'는 5년 만기 상품으로 아직 만기가 3년이나 남아 있음에도 이재명 정부는 '청년미래적금' 도입을 준비하고 있어 기존 청년 가입자의 혼란과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기에 연계 가입 가능 여부 등 설계를 제대로 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