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묘지 유족 희망 시 재안장…친환경 유골함 확대

보훈부, 국립묘지 유골함 물고임 대책 발표 안장방식, 배수시설 개선하고 석관 사용중지

2025-09-15     박동규 기자
사진=국가보훈부

<속보>=국가보훈부는 최근 논란이 된 국립묘지 유골함 물고임 현상과 관련해 유족이 희망할 경우 재안장하고 친환경 유골함 사용을 확대하는 등의 내용을 포함한 대책을 15일 발표했다. 국립현충원 등 전국 12개 국립묘지에서는 봉안묘와 봉안시설, 자연장지 형태로 안장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도자기형 유골함을 안장한 일부 묘역에서 물고임이 발생한 사례가 확인됐다. <본보 9일자 6면 보도>

보훈부는 원인 분석을 위해 조경·토목·장례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구성해 국립묘지 현지 실태조사를 진행했다. 전문가들은 봉안묘 형태로 땅에 도자기형 유골함을 매장할 경우, 배수시설이 잘 돼 있다 하더라도 호우 및 결로 등으로 유골함에 물이 고일 수 있다면서도 친환경 유골함 등 안장 방식에 대한 개선과 묘역 내 빠른 배수를 위한 배수시설의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에 보훈부는 유족이 원하는 경우 재안장을 추진한다. 특히 생분해되는 종이 소재의 친환경 유골함으로 재안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국립묘지 조성 시 자연장지를 함께 조성해 유족의 안장 선택권을 확대할 예정이다. 자연장지란 유골을 친환경 유골함에 넣어 잔디 등의 밑이나 주변에 묻는 묘역 형태다.

이와 함께 배수에 지장을 주고 물고임 가중의 원인이 되는 석관 사용을 중지한다. 현재 석관은 4·19민주묘지와 5·18민주묘지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립묘지 지하 수위 측정과 원활한 배수를 위해 ‘집수정’도 설치한다. 집수정은 유입된 지하수의 수위를 측정하고 외부로 배출하는 시설로, 현재 국립대전현충원에 설치돼 있으며 올해 임실호국원을 시작으로 나머지 국립묘지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더불어 묘역의 땅속에 자갈과 유공관 등을 매설한 수로 형태의 배수시설인 맹암거 설치 등을 통해 배수시설을 개선한다. 대전현충원은 맹암거 설치 공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5·18민주묘지도 연내 설치를 완료한다. 여기에, 취약 구역 파악을 위해 봉안묘가 있는 국립묘지에 물고임 측정용 유골함을 설치, 분기별로 점검하고 대응할 방침이다.

보훈부는 재안장을 비롯한 배수시설 개선 등의 대책 추진과 함께 앞으로 반기마다 국립묘지 배수 상태 점검과 개선상황 등에 대한 전문가 조사를 진행하는 등 관리체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권오을 장관은 “국립묘지 유골함 물고임으로 인해 유족과 국민들께 심려를 끼쳐 드리게 된 점 다시 한번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면서 “국가보훈부는 국립묘지 유골함 물고임 대책을 철저히 이행해 국가를 위해 헌신하신 분들에 대한 마지막 예우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동규 기자 admin@gg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