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실질소득 연평균 증가율, 20대 ‘나 홀로 1%대’
한경협 분석…원인은 고용 질적 저하와 체감물가 상승
체감물가를 반영한 실질소득을 세대별로 분석한 결과, 최근 10년간 20대 청년층의 실질소득 증가율이 전 세대 중 가장 낮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인연합회(한경협)는 29일 발표한 ‘2014∼2024년 세대별 실질소득 추이 분석’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20대의 실질소득 증가율은 연 1.9%로, 전 세대 중 가장 낮았다. 이어 40대(2.1%), 50대(2.2%), 30대(3.1%), 60대 이상(5.2%) 순이다. 20대는 실질소득 증가 추세도 과거 5년(2014∼2019년)의 증가율은 연 2.6%였지만 최근 5년(2019∼2024년)은 연 1.1%로 둔화됐다.
한경협은 청년층 실질소득 증가율 부진 원인을 고용의 질적 저하와 체감물가 상승으로 꼽았다. 우선 최근 10년간 20대의 근로소득 연평균 증가율은 3.6%로 모든 세대 중 가장 낮았다. 같은 기간 청년층의 실업률은 3.2%포인트(9.0%→5.8%) 낮아졌고 고용률도 3.6%포인트(57.4%→61.0%)로 높아져 고용의 양적 개선은 이뤄졌지만, 근로소득 수준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비정규직 비율이 11.1% 늘어나며 질적 개선은 이뤄지지 않았다.
외식비 상승에 따른 체감물가 상승도 청년층 실질소득 부진을 거들었다. 가처분소득과 체감물가를 과거 5년과 최근 5년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청년층 명목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2014∼2019년 연 3.8%에서 2019∼2024년 연 4.0%로 0.2%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다. 그러나 같은 기간 청년층 체감물가 상승률이 연 1.1%에서 2.8%로 뛰면서 명목 가처분소득 상승효과가 상쇄되며 청년층 실질소득 증가율은 오히려 떨어졌다는 게 한경협의 설명이다.
한경협은 가파른 음식·숙박비 상승을 청년층 체감물가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지목했다. 최근 5년간 ‘음식·숙박’ 물가는 식사비를 중심으로 연 4.0% 올랐는데 이는 소비지출 항목 중 ‘식료품·비주류음료’(5.1%)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청년층의 소비 바스켓 구성 항목의 체감물가에 대한 상승 기여율을 분석한 결과, ‘음식·숙박’이 30.9%로 전 항목 중 가장 높았다. 한경협은 청년층 실질소득 개선을 위해 고용의 질을 높이는 노동시장 정책과 함께 체감물가 개선을 위한 외식 물가 안정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경협 관계자는 “고용훈련, 기업의 양질의 고용창출 여력 확대 등 질적 제고를 위한 노동시장 정책 다변화가 필요하다”며 “할당관세,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등을 통해 식재료비 원가 부담을 줄임으로써 외식 물가 안정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동규 기자 admin@gg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