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킥보드 없으니 좋다'... 킥보드 없는 거리 확대 98% 찬성
서울시가 마포구와 서초구에서 시범 운영 중인 ‘킥보드 없는 거리’가 시민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 3일, 두 구간의 시범 운영 효과를 분석한 결과 시민 10명 중 7~8명이 보행환경 개선과 충돌 위험 감소 효과를 체감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킥보드 없는 거리’는 지난 5월부터 마포구 홍대 ‘레드로드’(1.3㎞)와 서초구 반포 학원가(2.3㎞) 두 구간에서 낮 12시부터 오후 11시까지 운영되고 있다. 이 구간에서는 전동킥보드, 전동이륜평행차, 전동기 동력 자전거 등의 통행이 금지된다.
서울시는 지난 8월 해당 지역 생활인구 500명(만 18세 이상 60세 이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53.2%가 ‘킥보드 없는 거리’의 시행 사실을 알고 있었다.
운영 전후 변화를 묻는 항목에서는 전동킥보드 통행량이 줄었다는 응답이 76.2%, 무단 방치 수량이 감소했다는 응답이 80.4%, 충돌 위험이 줄었다는 응답이 77.2%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69.2%는 “보행환경이 개선됐다”고 답했다.
특히 향후 보행 밀집 지역이나 안전 취약지역으로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 98.4%가 찬성했다. 반면 ‘킥보드 통행금지로 불편을 느낀다’는 응답은 2.6%에 불과했다.
현재 경찰은 계도 기간을 운영 중이며, 통행금지 구역에서 위반 시 일반도로는 범칙금 3만 원과 벌점 15점, 어린이보호구역에서는 범칙금 6만 원과 벌점 30점이 부과된다.
서울시는 이번 시민 인식 조사 결과를 포함해 전반적인 효과를 종합 분석한 뒤, 경찰과 협의해 단속 강화와 통행금지 구간 확대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킥보드 통행 제한으로 보행 안전이 체감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시민들이 안심하고 걸을 수 있도록 전동킥보드 관리체계를 강화하고,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