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충남도 공공기관 2차 이전 유치 드라이브
市 별도 TF 출범 계획… 내달 운영 道 이전 가능성 있는 기관 전수조사
대전시와 충남도가 수도권 공공기관 2차 이전에 본격적으로 대비하고 있다. 집중 유치기관을 재정비하는 동시에 후발주자인 만큼 정부의 배려를 관철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시는 ‘2차 공공기관 이전대응 태스크포스(TF)’를 출범, 내달부터 실장급 단장 체제로 전환하기로 했다. TF는 행정자치국장이 단장을 맡고 균형발전과, 도시재생과, 도시정비과, 전략산업정책과, 정책기획관, 대외협력본부, 대변인 등 유관부서와 협력하는 동시에 대전연구원이 참여해 공공기관 지방 이전 업무를 전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유치 대상 기관 재정비, 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 유치 전략 고도화, 유치 대상 기관 방문 및 업무협약 체결 등을 통해 최대한 많은 공공기관이 대전으로 향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특히 철도와 교통, 특허 및 지식 분야 등 기존 집중 유치기관(39개)을 재정비하고 그 외 지방 이전이 가능한 수도권 공공기관을 면밀하게 분석해 유치 대상 기관을 재선별한 후 집중적인 유치 활동을 전개한다.
충남도 역시 이미 본격적인 준비를 마친 상태다. 지난 8월 정부가 발표한 국정과제에 ‘2차 공공기관 이전 등 균형성장 거점 육성’이 포함된 만큼 기후환경·탄소중립, 문화·체육, 경제 분야 등의 집중 유치기관을 분류했고 공공기관 자회사 등 이전 가능성이 있는 기관 전수조사를 진행, 지역 국회의원과의 정책토론회·간담회를 통해 유치 활동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김태흠 충남지사가 대전과 충남 등 혁신도시 후발주자를 위한 우선 선발, 즉 드래프트제에 대해서도 시와의 협력으로 관철한다는 계획까지 세운 상태다. 이미 시와 도 같은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득원 행정부시장은 “정부의 2차 공공기관 이전은 대전이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기회다. TF를 중심으로 전 부서가 긴밀히 협력하여 전략적으로 대응하고 대전의 지역적 강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공공기관 유치와 혁신도시 조성에 총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김현호 기자 khh0303@gg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