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제미나이3' 출시... 검색창에 바로 적용
세계 최대 검색기업 구글이 차세대 인공지능(AI) 모델 ‘제미나이3’를 선보이며, 이를 자사 핵심 서비스인 검색에 바로 적용하며 정면 승부를 예고했다.
순다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8일(현지시간) 제미나이3 출시를 알리며, “이번 모델은 전례 없는 수준의 깊이와 뉘앙스를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된 최첨단 추론 능력을 갖췄다”고 설명했다.
구글이 새로운 AI 모델을 내놓은 것은 지난 3월 공개한 제미나이2.5 이후 약 8개월 만이다. 특히 이번에는 출시 첫날부터 검색 서비스에 곧바로 적용하며, AI 경쟁력을 전면에 드러냈다.
사용자는 구글 검색창에서 검색어 입력 후 ‘AI 모드’ 탭을 선택하면, 기존 AI 챗봇과 유사한 형태로 제미나이3를 활용할 수 있다. 그동안 구글은 핵심 매출원인 검색 광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이유로 검색 분야 AI 도입에 소극적이라는 평가를 받아왔지만, 이번 행보는 AI를 활용한 검색 강화로 전략을 전환했음을 보여준다는 분석이다. 피차이 CEO도 “출시 첫날부터 제미나이 모델을 검색에 적용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AI 모드는 우선 미국 시장에서 먼저 제공되며, 한국 등 다른 국가에는 순차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제미나이3는 각종 성능 지표에서도 경쟁 모델을 앞섰다. 이용자 평가 기반의 ‘LM아레나 리더보드’에서는 기존 수위권 모델인 그록4.1과 제미나이2.5프로를 제치고 1501점으로 1위를 기록했다. 또한 박사급 추론 능력을 평가하는 HLE에서도 GPT-5를 능가하며 37.5%로 최고 점수를 받았다. 경시대회 수준의 난이도 높은 수학 문제로 구성된 ‘매스아레나 에이펙스’에서는 기존 최고점 5.21%를 크게 상회하는 23.4%를 기록하며, 과학·수학 등 복잡한 문제를 높은 신뢰도로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구글은 이날 AI 모델을 활용한 작업 자동화 도구 ‘구글 안티그래비티’도 공개했다. 이를 통해 AI 에이전트가 사용자를 대신해 소프트웨어 작업을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으며, 인간 업무를 보조하는 차세대 AI 도구로 활용될 전망이다.
구글은 이번 발표에서 경쟁 기업을 견제하는 메시지도 은연중에 내비쳤다. 제미나이3에 대해 “아부성 발언을 줄였다”고 언급하며, 챗GPT 등 최근 논란이 된 AI 모델과 차별점을 강조했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MS)의 연례 개발자회의 ‘이그나이트 2025’ 개최일에 맞춰 출시를 발표한 것도 경쟁사 견제 목적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원래 올해 말 공개될 예정이었던 제미나이3는 출시일이 앞당겨진 것으로 보이며, 최근 내기 사이트 폴리마켓에서는 모델 공개 시점이 임박했다는 쪽에 사람이 몰리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