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의료 공백'... 보건소·지방의료원에 한의사 투입 검토

2025-11-26     양가영 인턴기자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의료 취약 지역의 의사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공공의료 영역에서 한의사의 참여를 확대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병역 대체복무를 통해 지역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던 공중보건의사(공보의) 인력이 빠르게 감소하면서 지방의료 현장에서 인력 공백이 생기자 한의사를 투입해 공백을 메우겠다는 취지다.

보건복지부는 최근 국회에서 제기된 “공중보건의사 감소에 따라 한의사의 참여와 역할을 높여야 한다”는 제안에 대해 공감한다는 입장을 지난 24일 밝혔다. 정부는 이를 토대로 보건소나 지방의료원 등 공공의료기관에서 한의 진료 기능을 강화하고, 지역 단위 한의 공공보건사업을 확대하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겠다는 계획이다.

정부가 이 같은 방안을 꺼내든 배경에는 지역의료 공백 문제가 자리 잡고 있다. 최근 병역 자원 감소와 군 복무 환경 개선 등의 요인으로 의대생들 사이에서 현역 입대를 선택하는 비율이 높아졌고, 그 결과 신규 의과 공보의 수가 매년 눈에 띄게 줄고 있다. 이로 인해 지방 소도시나 농어촌의 보건지소, 지방의료원 등이 의사 부족으로 운영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제기되며 지역 주민들의 의료 접근성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

한의사 참여 확대에 대해 기대와 우려는 엇갈린다. 한의계는 농촌 지역은 고령층 비중이 높아 만성질환 관리나 근골격계 통증 치료 수요가 많은 만큼, 한의사가 주민 건강을 담당하는 ‘주민 건강 주치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침, 뜸, 한약 등을 활용한 지역 한의 공공보건사업이 만성질환 관리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는 일부 연구 결과도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한다. 

반면 의료계 일부에서는 의과와 한의과의 진료 체계가 다른데 단순히 의사 부족을 이유로 한의사로 대체하려는 접근은 한계가 명확하다고 지적한다. 특히 응급 처치나 외과적 수술과 같이 한의사가 감당하기 어렵다는 현실적 한계도 지목된다.

정부가 ‘적극 검토’ 의지를 밝힌 만큼 향후 공공의료 기관에서 한의사의 역할이 한층 확대될 가능성이 커졌다. 지역 주민들이 겪는 의료 공백을 실제로 해소할 수 있을지, 그리고 한의사 투입이 실질적인 대안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향후 정책 논의 과정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