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우리글] '자랑스러운'-'자랑스런' 맞는 말은?

2010-11-02     윤성국 기자
‘~스럽다’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서 ‘그러한 성질이 있음’의 뜻을 더하고,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이다. ‘~스럽다’는 ‘ㅂ불규칙활용형’으로 어간의 끝인 ‘ㅂ’이 탈락하며 ‘우’로 바뀐다. 그래서 ‘-스러우니, -스러워,-스러운’으로 활용된다. ‘ㅂ불규칙활용형’은 ㅂ이 탈락하면, ‘ㅗ’나 ‘ㅜ’로 바뀌며, ‘ㅗ’나 ‘ㅜ’는 절대 줄거나 탈락해 없어진 채 사용되는 경우가 없음을 명심해야 한다. 따라서 ‘자랑스럽다’는 활용형으로 ‘자랑스러운’이 되지 ‘ㅜ’가 탈락된 ‘자랑스런’은 될 수가 없는 것이다. ‘자랑스러워서’가 ‘자랑스러서’가 될 수 없고, ‘자랑스러우니’가 ‘자랑스러니’가 될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임을 명심해야 한다. 초등학교 시절부터 ‘국기에 대한 맹세’를 외우면서 ‘나는 자랑스런 태극기 앞에 조국과 민족의 무궁한...’이라고 잘못 외우면서 지금도 수많은 사람이 ‘자랑스런’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것이다. ‘영광스럽다, 부끄럽다, 싱그럽다’의 활용형도 ‘영광스런, 부끄런, 싱그런’대신 ‘영광스러운, 부끄러운, 싱그러운’으로 맞게 써야 한다. ‘ㅗ’로 바뀌는 경우는 ‘곱다, 돕다’ 두 경우로서, ‘고와, 도와’로 활용된다. 그래서 ‘꽃이 고워서’가 아니라 ‘꽃이 고와서’가 맞다. 태안 기름유출사고시 방제작업에 참여한 지역 주민들이 각종 질병에 걸릴 위험이 높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걱정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관계기관의 철저한 관리와 대책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