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도시, 공동주택 설계기준 강화
2016-03-26 김도운 기자
고품격 공동주택 건설을 위해 세종시 행복도시의 공동주택 설계기준이 한층 강화된다.
성능개선 분야에서는 폐쇄회로(CC)TV의 카메라 해상도를 200만 화소(HD)급 이상으로 개선해 범죄예방이나 사고 후 확인 조치에 용이하도록 할 방침이다.
또한 화장실을 통해 담배연기 등 악취가 유입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위해 자동 역류방지 댐퍼(damper, 공기 조절판)를 의무적으로 설치토록 강화한다.
신재생에너지 적용 비율도 신재생에너지 도입 지침(가이드라인(안)) 확대 도입방안에 맞춰 기존 2.0%에서 2.5%로 상향된다. 현재까지 국내 법령에는 공동주택에 대한 신재생에너지 도입 의무기준이 없이 자율에 맡기고 있지만 행복도시에서는 이전부터 별도의 기준을 갖고 태양광과 지열 도입을 의무화해 왔다.
이는 태양광과 지열 도입을 0.5% 상향시켜 도시 및 국가적 환경문제에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는 것에 따른 조치다.
아울러 확장형 세대에 중문 설치를 권장해 기밀성을 높이고 비용 저감효과도 볼 수 있게 한다는 방침이다. 일반적으로 기밀성 2등급을 사용해 왔지만 기밀성 1등급 창호를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해 단열, 결로 방지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이동통신설비(안테나)의 설치 위치 및 디자인을 사업계획 승인 전에 상호 협의·결정할 것을 권유해 입주 후 전자파 피해 우려 및 주민 간 설치 위치를 두고 갈등을 줄일 계획이다.
이러한 조치는 단지 내 무선통신중계기 미설치로 휴대폰 통화 품질 저하와 개별 통신사의 무분별한 설치로 공동주택 옥상 및 도시 경관이 훼손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최형욱 행복청 주택과장은 “매년 주민 참여형 공동주택 품질점검과 입주자 사전점검은 물론 준공 이후 입주세대에서 빈번한 반복적인 민원들을 유형별로 분석해 근본적인 원인을 찾고 있다”면서 “이번 개선은 단순히 일회성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행복도시만의 특화된 공동주택 설계기준을 강화하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김도운 기자 8205@gg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