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매운 맛의 비밀 - 맛이 아닌 통증··· '진통제' 엔도르핀 촉진
<기분 좋아지는 느낌 다이어트에도 효과><과도한 섭취는 금물 위염·위경련 우려>
‘불닭, 매운 떡볶이, 매운 닭발, 매운 찜닭…’흔히 거리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음식점의 메뉴들이다.이 음식들은 하나같이 입에 불이난다고 할 정도로 매우며, 한 젖가락에 눈물이 쏙 빠질 지경이다. 최근 매운 음식의 효능을 입증하는 연구결과가 속속 발표되면서 이를 찾는 이들이 더욱 많아지고 있는 추세다.먹으면 고통스럽기까지 한데도 계속 손이 간다. 이 맛을 잊지 못해 매운 음식만을 찾아다니는 ‘마니아’도 많이 있다.반면 매운 음식만 먹으면 속이 쓰려 하루 종일 고생하는 통에 입에도 대지 못하는 사람도 있다.누군가에게는 맛, 누군가에게는 겁이 되는 매운 음식, 사람마다 조금씩은 다르겠지만 아무리 매운 음식을 잘 먹는 우리나라 사람이라도 못 먹는 사람은 분명히 있다. 이처럼 매운 음식의 선호도가 분명하게 갈리는 이유는 뭘까.사람의 혀는 단맛, 짠맛, 신맛, 쓴맛 등 4가지 맛밖에는 느낄 수 없다.최근 연구결과에서 ‘감칠맛’이라는 세포가 발견돼 다섯 번째 맛으로 인정하고 있다.혀의 미각세포가 감지해야 달든, 쓰든, 시든 맛을 느낄 수 있다.그러나 매운 맛은 미각세포가 아닌 통증을 느끼는 통각세포가 이를 감지한다. 즉 매운 맛은 맛이 아니라는 소리다. 매운 음식을 먹으면 입안이 그래서 얼얼해진다.같은 음식이라도 매운 맛을 느끼는 정도가 다른 이유는 바로 통각세포에 있다.잘 먹는 사람들은 통각에 둔한 사람들이며, 반대로 통각세포가 예민한 사람일수록 매운 음식을 못 먹는 것이다.그렇다고 예민한 사람들이 평생 매운 음식을 못 먹는 것은 아니다. 덜 매운 음식부터 지속적으로 먹다보면 어느덧 통각에 익숙해져 매운 음식을 먹을 수 있게 된다.그렇다면 너무 매워 땀과 콧물을 흘리며 혀가 얼얼한데도 계속 매운 음식을 먹게 될까.매운 맛은 통각이 감지하기 때문에 먹다보면 아픔을 느끼게 되고, 이에 따라 뇌에서 천연 치료제인 엔도르핀을 분비한다.엔도르핀 때문에 스트레스 해소와 기분이 좋아지는 느낌을 받게 돼 다시 끌리게 되는 것이다.이같은 이유로 몸이 나른해 지는 기후가 잦은 열대지방일수록 인체에 활력을 넣기 위해 음식에 향신료를 많이 첨가하는 경향이 있다.매운 음식의 효과는 이 뿐만이 아니다.매운 맛을 내는 캡사이신은 지방을 연소하는 효과가 있어 다이어트에 좋다고 알려져있다.또 술과 자극적인 음식으로 인한 위장 손상을 막아 주며, 혈압을 낮추고 폐암을 비롯해 백혈병·전립선암·피부암 등을 억제한다.그렇다고 무조건 먹는 것은 좋지 않다.캡사이신을 다량으로 섭취할 경우 암 유전자의 활성이 높아져 암 발생을 유발한다는 연구결과가 최근 발표됐다.또 지나치게 섭취할 경우 소화기관에 좋지 않으며, 위의 보호막이라고 할 수 있는 위 점액의 분비가 줄어 위 세포를 자극, 위염이나 위경련, 위궤양이 생길 수 있다.전문가들은 적당한 섭취를 권고한다.권순자 배재대학교 교수는 “과거 매운 음식을 자주 먹는 한국 모델들이 그렇지 않은 일본 모델들 보다 편하게 체중관리를 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었듯 매운음식은 다이어트와 각종 질병에 좋은 것은 사실”이라며 “그러나 모든 것이 과도하면 탈이 생기듯이 적당한 양을 섭취해야하며 사람에 따라 능력이 다르므로 자신에 맞는 적당량을 먹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