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희정 지사, 내포 집단에너지 원점 선긋기
2017-12-26 문승현 기자
안희정 충남도지사는 26일 “내포신도시는 도시개발계획 수립 당시 집단에너지 공급대상지역으로 확정됐다. 이런 기본 틀 자체를 원점으로 되돌리는 논의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거센 주민 반발로 고형폐기물연료(SRF) 방식의 열병합발전소 건립이 중단된 마당에 집단에너지사업을 아예 부정하는 강경기조로 흐르면 사업 자체가 방향을 잃고 표류할 수 있다는 우려도 깔려 있다.
안 지사는 또 현 집단에너지사업자 내포그린에너지㈜ 측이 주장하는 매몰비용 부담과 관련해선 “기존 사업자와 신규 사업자가 협상해야 할 부분으로 충남도의 재정을 투입해 해결할 문제가 아니며 그럴 생각도 없다”고 못 박았다. 내포그린에너지는 매몰비용이 1800억 원에서 많게는 3500억 원에 달한다고 추산한다.
안 지사는 이날 SRF를 대체할 열공급 방식으로 2가지를 제시했다. 먼저 주민들이 줄기차게 요구해온 액화천연가스(LNG) 열병합발전이다. 환경오염물질이 적게 나와 주민수용성이 높다는 게 장점으로 꼽힌다.
내포그린에너지가 SRF를 포기하고 LNG로 사용연료를 전환하면 공정률 40%에 이르는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활용할 수도 있다. 매몰비용 최소화는 덤이다. 다만 당초 발전량 97㎿보다 10배가량 커져야 수익성이 나올 것이란 예측은 부담이다. 시설규모 확대와 경관문제, 발전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등에 대해 또 다른 우려가 나올 수 있어서다.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른 건 ‘연료전지’ 발전방식이다. LNG에서 분리한 수소와 공기 중 산소를 반응시켜 열과 전기를 생산한다. 소음과 매연이 거의 없고 굴뚝이나 건물을 높게 지을 필요도 없다. 하지만 사업자가 수천억대 매몰비용을 떠안고 들어와 1만여 곳에 불과한 내포지역 공동주택과 공공기관, 업무시설 열공급만으로 채산성을 확보하는 게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안 지사는 “수소연료전지 발전방식의 신규사업자가 의지를 갖고 등장해 산업통상자원부와 기존 사업자 등 3자 간에 협상과정이 진행되고 있다”며 “앞으로 에너지공급시설 인허가에 주민수용성을 전제로 하는 법안이 새로 발효되는 등 에너지수급정책이 급변하고 있으므로 내포그린에너지와 신규사업자 모두 책임감을 갖고 협의에 임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내포=문승현 기자 bear@gg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