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연령 18세로 하향, 준비없인 역효과 초래”
지난해 청소년 66% 찬성에도 교육현장선 부작용 우려 지적 “현재 정치교육 이론에만 그쳐” 가치판단 향상 노력 선행돼야”
2018-05-13 이준섭 기자
6·13 지방선거가 한 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청소년들의 정치 참여 욕구도 날로 높아지고 있다. 투표연령 조정에 대한 주장이 그 중 하나인데 청소년들 다수가 이를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여론도 호의적인 상황에서 정치권이 결단만 하면 현실화가 그리 어려운 건 아니지만 일각에선 조심스런 반응도 나오고 있다. 이론에만 그치고 있는 학교 교육의 현실에서 단순히 연령만 낮추는 것이 옳은지에 대한 걱정에서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투표연령 하향 문제를 단순히 청소년에게 참정권을 행사한다는 정치적 측면에서만 바라봐선 안 된다고 입을 모은다. 투표연령이 만 18세로 조정되면 청소년들이 선거에 참여해 정치를 직접 체험함으로써 민주주의의 생생한 경험을 할 수 있다는 긍정적 효과도 있지만 그 이전에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에게 민주주의, 정치 교육 등을 강화해 제대로 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우선돼야 한다는 생각에서다.
투표연령 조정과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한 보완책 마련 논의가 함께 진행돼야만 하는 이유다. 이창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학교에서 정치, 민주주의와 관련한 교육을 단순히 이론에만 그치지 않고 모의선거나 정치·사회적인 문제에 대해 학생들이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출할 수 있도록 활발한 토론 수업 등을 진행하면서 개인의 주관과 판단 능력 등을 키워줄 수 있는 방안들이 마련돼야 한다”며 “최근 청소년의 정치에 대한 관심과 참여 욕구가 강해진 만큼 선거연령 하향과 맞물려 올바른 가치 판단을 할 수 있는 교육적 차원의 노력들이 선행돼야 불필요한 논란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