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與 '이런 식이면 또 전멸'
靑·친이, 세종시 수정안 28~29일 국회 본회의 부의 강행
2010-06-28 서이석 기자
충청권 여당내에서 청와대와 여당 지도부의 국정운영기조와 관련해 자성론이 강하게 대두돼 주목된다.이명박 대통령이 6.2지방선거 이후 민심을 겸허히 받아들이겠다며 민심 수습 의지를 밝힌 것과 달리 청와대와 당지도부가 나서 세종시 수정안과 과학벨트 백지화 발언 등으로 연일 충청 민심을 자극하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여당내 일각에선 패권적이고 일방적인 당내 의사결정 구조가 해소되지 않는 한 2년 후 총선과 정권 재창출 국면에서 완패를 모면하기 어렵다는 위기감도 강하다.◆한나라당 주제 토론회 “대선땐 레드카드 위험”한나라당 대전시당은 지난 25일 시당에서 ‘6.2지방선거 결과와 한나라당의 나아가야할 방향’이란 주제 토론회를 가졌다.지방선거 패배에 따른 시당위원장 교체 후 처음 이뤄진 이날 토론회에서는 지방선거 원인 분석과 여당의 국정운영 방향에 대한 고강도 발언들이 여과없이 쏟아졌다.나경수 선대본부장은 이날 “한나라당의 지방선거 패배의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우선 국정운영의 잘못, 진보적 성향을 지닌 젊은층의 표심을 얻지 못한점, 친이친박이라는 계파 갈등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고 진단했다.유병선 충남대 교수는 이어 “6?2지방선거의 결과는 국민들이 한나라당에게 엘로우카드를 준 것”이라며 “한나라당은 스스로를 반성하고 앞으로를 준비하지 못한다면 2012년 총선과 대선에서는 레드카드를 받게 될 것”이라고 못박았다.유 교수는 이어 “정치인에게 있어 자신의 소신과 민심의 충돌은 종종 발생하나 지난 과거를 뒤돌아보면 대부분 민심에 따라 모든 정책이 결정됐다”며 민심에 기반을 둔 국정기조 변화와 당쇄신을 주문했다.이는 지방선거 완패로 충청권내 입지가 크게 위축된 상황에서 총선과 대선을 겨냥한 민심수습책이 뒤따르지 않는 한 또 다시 충청권 전멸이 불가피하다는 경고성 발언들로 해석된다.◆청와대·친이(親李) ‘세종시 블랙홀’ 자충...민심수습책 혼선여당내 안팎에선 지방선거 후 드러난 청와대와 친이계열 중심의 국정운영 기조에 대해 잇따라 경고성 발언들이 쏟아지고 있다.전멸의 위기감이 팽배한 충청권 여당내 기류와 달리 청와대와 친이계열은 세종시 수정안과 과학벨트 백지화 등에 사활을 걸면서 민심과 연일 충돌하고 있기 때문이다.더욱이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지방선거 패배에 따른 조기 민심수습이 시급한 현안으로 대두됐으나 세종시와 과학벨트에 당력을 집중하다보니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여당 위기론의 정점은 역시 세종시다.여야가 6월 임시국회에 세종시 수정안을 처리키로 합의하고, 소관 상임위에서 관련 법안이 부결됐으나 여당내 친이계열을 중심으로 ‘본회의 부의’ 주장이 대두되면서 되레 민심에는 악재로 작용하는 양상이다.국정 현안이 모두 세종시로 쏠리는 ‘블랙홀’ 현상이 나타나면서 여당이 자신하는 경제 위기 관리 능력도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 채 함께 묻히고 있다는 것이다.이에 대해 제왕적 당 운영과 패권?오기의 정치에서 비롯된 부작용이란 지적도 나오고 있다.지역 정가 관계자는 “여당의 문제점 중 하나는 이명박 대통령이 지방선거 후 ‘민심을 겸허히 받아들이겠다’는 것과 후속 대책이 상치되면서 선거과정에서 여당을 버린 민심을 수습하지 못하는데 있다”며 “세종시와 과학벨트 사업이 계속 정치쟁점화되는 부분에 대해 냉철하게 득실 계산을 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