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원안 고집하면 다시 기회잡기 힘들다
2010-05-07 서이석 기자
정운찬 국무총리의 이번 세종시 발언은 예전에 비해 한두 단계 수위가 높다.지난 4월 여야 지도부 16명에게 보낸 서한에서 “지역민과 기업의 어려움을 겪는다”며 세종시 수정안의 조속한 국회처리를 요청하던 때와 사뭇 수위가 다르다.더욱이 민심이 요동치는 지방선거 정국의 한복판에서 꺼내든 정 총리의 ‘작심 발언’이라 배경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정 총리 세종시 수정안 노골화...충청권 반발 자극정 총리의 이날 세종시 수정안과 관련된 발언은 2~3가지로 요약된다.세종시 원안은 50만 도시를 만드는 것이 불가능하고 기형도시, 공동화도시로 전락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그 동안 정부가 주장해오던 수정안 명분 중 하나다.그러면서 충청권이 세종시 원안을 고집하면 미래를 확약받기 어렵고, 앞으로 피해만 보는 역사가 되풀이될 수 있다는 점도 거론했다.또 시점도 6월 국회처리로 또 한번 못을 박았다. 정 총리의 이번 발언은 그만큼 충청권에게 수정안의 당위성과 절박함을 표현한것 일 수 있으나 보기에 따라 협박성으로도 해석된다.정 총리가 충청권의 반발을 자극하고 있는 셈이다.◆당정청 지방선거 수도권에 올인하나정 총리의 세종시 작심 발언이 선거 정국의 한복판에서 나왔다는 점에서 다양한 해석이 쏟아지고 있다.이번 정 총리의 발언은 최근 정몽준 한나라당 대표와 안상수 전 원내대표의 세종시 수정안 6월 국회 통과 발언과도 일맥상통한다.새로 선출된 김무성 원내대표까지 가세하며 당?정?청이 나서 연일 세종시를 도마 위에 올리고 있다.선거 과정에서 세종시 수정안 대열이 흐트러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도 있지만 지방선거를 겨냥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일부에선 승리를 낙관하기 어려운서울시장과 경기지사 선거를 위해 세종시 문제를 의도적으로 부각시키는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지역 정가의 한 관계자는 “한나라당 지도부로서는 대한민국 수도인 서울과 경기지사를 야당에 넘겨준다는 것에 정치적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고 선거 후유증도 상당할 것”이라며 “지도부로서는 수도권 표심에 올인할 수 밖에 없겠지만 충청권을 비롯한 다른 지역 선거 후보들의 경우 고민이 깊어질 수 밖에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