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거리두기 1.5단계 격상에 대전시민 ‘긴장’
업소, 마스크 미착용자 출입제한 등 안간힘 “코로나19 종식 위해선 2단계로 올려야” 의견도
[금강일보 김정섭 기자] 정부가 19일부터 수도권과 강원도 일부에 대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1.5단계로 격상키로 하자 대전시민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코로나19 지역감염이 한동한 잠잠했던 덕분에 잠시 기지개를 켰던 소상공인들의 걱정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일각에선 더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서울·경기·인천 지역의 지난 8일부터 14일까지 1주간 하루 평균 신규 확진자 수는 89명으로 1.5단계 거리두기 기준의 90%에 육박했고 강원도의 경우 1주간 하루 평균 12명이 확진돼 격상 기준인 10명을 넘어섰다. 충청권엔서 연일 확진자가 나오고 있는 충남 천안이 1.5단계로 방역 수위를 높인 상황이다.
대전의 경우 아직 집단 감염이나 연쇄적인 감염은 일어나지 않고 있지만 심상찮은 전국 상황에 시민들은 긴장감을 토로한다. 회사원 최 모(32·대전 유성구) 씨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됐을 때 회사 사정이 좋지 않다보니 사원들이 권고사직을 당했다”며 “수도권에서 거리두기가 또다시 강화된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권고사직을 당한 동료들의 입장이 남 일 같지 않게 다가왔다. 제발 이 위기를 잘 벗어났으면 좋겠다”고 간절해했다.
거리두기 격상이 불러온 후폭풍을 익히 잘 알고 있는 소상공인들의 불안감은 크다. 대전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김 모(50·여) 씨는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완화되면서 조금 나아지나 싶었는데 수도권 거리두기 단계 격상이 대전에도 적용될까봐 걱정된다”며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됐을 때로 다시는 돌아가고 싶지 않다. 그래서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손님들의 입장을 완강하게 거부하는 등 방역에 집중하고 있다”고 마음조여했다.
반면 수세적인 방침보다 이참에 거리두기 단계를 격상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김 모(61·대전 중구) 씨는 “수도권으로 출퇴근하는 사람들도 제법 많고 타 도시로부터의 감염도 적잖은데 이렇게 안일하게 있어서는 안 된다고 본다”며 “거리두기 단계 격상 기준이 개편된 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차라리 전국을 대상으로 단계를 격상시켜 코로나19 상황을 하루빨리 벗어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인 것 같다”고 말했다.
현재까지 대전의 경우 사회적 거리두기를 강화할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지만 강도 높은 방역활동의 필요성은 더 없이 강조되고 있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지난 16일 주간업무회의를 통해 “지금까지 대전은 몇 번의 고비를 맞았지만 큰 확산을 막아냈다”면서도 “하지만 최근 들어 수도권은 물론 충남에서도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는 만큼 대유행에 대비한 강도 높은 방역활동이 필요하다”고 간곡히 당부했다.
김정섭 기자 toyp1001@gg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