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까지 받아서 주식한다는 요즘 청년들, 동학 개미! 동학 개미란?
동학개미와 서학개미! 닌자개미와 로빈후드! 객관적인 투자가 우리 모두를 살릴 것.
오늘의 주제는 ‘대출까지 받아서 주식 하는 청년들’의 이야기이다! 청년들이 무슨 이유로 대출까지 받아서 주식을 하는지와 얼마나 많은 청년들이 이러한 행보를 따라가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자. 대출까지 받아서 주식 하는 청년들 이야기를 할 때에는 빠질 수 없는 키워드가 있다. 바로 동학개미!
아마 이 키워드를 처음 듣는다면 대부분은 위와 같은 사진의 개미를 떠올릴 것이다. 아니면 ‘동학개미’의 ‘동학’이란 단어가 낯설지 않아 꽂히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만약 이 글을 읽는 당신이 후자에 속한다면 역사 좀 한다는 사람이지 않을까 싶다. 또한 후자에 속한 사람들에게 말하고 싶다. 당신들이 생각하는 그 ‘동학’이 맞았다고!
'동학개미'란?
동학개미란, 국내 개인 투자자들을 일컫는 신조어로써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현상이 장기화되면서 주식 시장 안에서 일어나는 현상이 마치 1894년 반외세 운동인 ‘동학농민운동’과 같아 보인다하여 ‘동학개미운동’이라 부르기 시작하면서 국내 개인 투자자들을 ‘동학개미’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그런데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현상이 장기화 되면서 어떤 현상이 일어났기에 그 모습이 ‘동학농민운동’처럼 보였던 것일까?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현상이 장기화됨에 따라 사람들의 활동에 제한이 생기고 이에 따라 자연스레 국내 경제는 어려움을 맞게 되었다. 이러한 국내 경제 어려움은 당연히 주식 결과에도 반영이 되었으며 이렇게 폭락하게 된 주식을 외국인 투자자들은 팔게 된다. 이때 국내 개인 투자자들의 대규모 매수세와 외국인 투자자들의 대규모 매도세가 맞물리게 된다. 바로 이러한 모습이 마치 1894년 반외세 운동인 ‘동학농민운동’과 비슷해 보였던 것이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국내에서만 발생하는 현상이 아니다. 이와 같은 개인투자자들은 여러 국가에서 보이고 있는데 이때 개인투자자들의 국가가 미국이라면 ‘로빈후드’로 불리며 일본이라면 ‘닌자개미’라고 불린다고 한다.
반면에 해외주식에 집중하는 국내 개인투자자들 또한 생겨나고 있는 추세인데 이 경우의 개인투자자들은 ‘동학개미’와는 반대되는 이미지로 ‘서학개미’라고 불린다고 한다.
청년들이 동학개미가 된 이유는?
이러한 동학개미운동은 외국인의 대규모 매도세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되어 국내 주식 시장을 안정 시켰다며 인정받았다. 하지만 여기서 의문점이 하나 생긴다. 청년들은 갑자기 왜 주식에 대해 적극적인 자세를 취한 것일까? 그 이유는 바로 다음과 같다.
‘레버리지 효과’!
‘레버리지 효과’란 Leverage, 즉 지렛대 효과이다. 이는 대출 받은 자본을 자신의 지렛대로 삼아 자기자본이익률을 높이는 것으로써 ‘레버리지 효과’가 가능한 분야는 안정성 있는 저축 분야가 아닌 변동 사항이 많은 투자 분야에서 가능한 효과이다. 그 이유는 ‘투자’ 분야에서는 실제 가격변동률보다 많은 투자수익률 발생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대출 받은 자본을 사용하여 단기간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레버리지 효과’와 취업난, 날이 갈수록 힘들어지는 국내 경제 상황 등과 같은 요인들로 인해 청년들은 주식에 보다 적극적인 자세를 취한 것으로 보이며 아마 이들에게 주식은 한줄기 희망으로 보인 것 같다.
하지만 우리 모두는 알아야 한다.
과거보다 주가가 낮아졌다고 무조건 사고 보는 ‘묻지마식 투자’와 과도한 대출을 사용하는 ‘레버리지 투자’ 등과 같은 객관적이지 못한 투자는 주식 시장과 투자자인 본인들 모두에게 독약이란 것을 알아야 할 것이며 주의해야 할 것이다.
동학개미운동에 대한 문제점
주식 시장에 개인 투자자가 많아진다면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개인 투자자들은 자신들의 목표 이익에 도달한다면 바로 투자를 멈출 것이기 때문이다. 이는 투자 대상에 대한 성장을 바라는 마음도 없는 투자이며 투자 대상의 비전을 고려한 투자라고도 보기 힘든 투자이다. 즉, 투자의 본질을 흐린 투자이다.
또한 이러한 투자 방식에 중독된다면 점점 객관성이 흐려지게 될 것이고 이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대표적인 예시로는 과도한 대출로 인해 ‘레버리지 투자가 실패했을 경우’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우리 모두가 객관적이고 바람직한 경제 활동을 하며 성장할 수 있길 바라며 글을 마치도록 하겠다!
위홍신 대학생 기자 wi6733@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