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연, 원자로 용기 보수기술 해외 수출 추진
[금강일보 곽진성 기자] 국내 연구진이 새로운 용기 보수기술을 개발했다.
14일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박원석)에 따르면 ‘Ni 도금법을 이용한 클래딩 손상 보수기술’의 표준절차와 관련 설비를 개발됐다.
연구원은 ‘원전 손상부 도금보수 표준 절차서’를 개발, 기술을 현장에 적용할 수 있게 완성했다. 이 기술은 연구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지난 2013년 개발해 국제 기술 표준인 ASME 인증을 받았으며 이후 기술 표준을 구현할 수 있도록 보수표준절차 및 장치 개발에 매진해 왔다.
‘Ni 도금법을 이용한 클래딩 손상 보수기술’을 이용하면 원격으로 금속 보호막을 만들어 보수할 수 있다. 특수 제작한 장치로 니켈(Ni) 성분을 함유한 도금액을 손상 부위에 공급하고 전류를 흘려 보호막을 생성하는 원리다.
물속에서 작업자가 직접 열을 가하는 용접작업법과 다르게 재료변성이나 작업자의 방사선 노출을 원천적으로 없앤 획기적인 기술로 평가받는다. 연구원은 본 기술이 미국 규제기관(USNRC) 기술검토 승인을 받을 수 있도록 미국 전력연구소(EPRI)와 공동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미국과 유럽 몇 발전소에서는 이미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하고 원자로 용기 손상부 보수에 적용하고자 의사를 피력한 상태다. 기술검토 승인 통과 후에는 원자로 용기 손상을 보수하는 국제 원자력 표준 기술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연구원은 국내 원자력 원천기술이 원전 안전성 증진을 위해 현장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부여하면서 추후 미국 규제기관의 승인까지 받게 될 경우 본격적인 해외 기술 수출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곽진성 기자 pen@ggilbo.com